“부산 이전에 대한 KDB산업은행 조직의 반대가 있는데 그 반대를 누그러뜨릴 수 있는 선물도 준비하고 있다.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는 교육 기능이나 주거 같은 정주 여건 등 새로운 인센티브를 드리려고 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 8월 29일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부산시청 시장집무실에서 조선비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제공

지난달 29일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부산시청 시장실에서 조선비즈와 만난 박형준 부산시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산업은행 부산 이전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박 시장은 부산 이전 후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특공 등의 인센티브를 주고, 교육 여건을 강화하기 위해 내국인들도 입학할 수 있는 국제학교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박 시장과의 일문일답.

ㅡ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어떻게 추진 중인가.

“산업은행 이전은 이제 정부 방침으로, 특히 대통령 의지도 강하다. 부산을 허브 도시로 키우는데 물류 기능과 금융 기능이 결합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부산이 2년 전에 국제 금융도시 순위에서 50위권이었는데 지금은 30위로 올라갔다.

여기 부산에 해양진흥공사와 같은 선박금융도 있고 주식거래소나, 예탁결제원 등 이런 정부 금융 기능이 상당히 와있다. 지금 중점을 두려고 하는 건 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이 산업을 지원하는 정책금융 기능을 여기에 적극적으로 가져오겠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이 온다고 해서 전체가 다 부산으로 오는 게 아니다. 서울에도 남아있을 것이다. 산업은행이 갖고 있는 여러 정책금융 사업이 부울경에 굉장히 많은 자리를 갖고 있는게 있다. 여기가 산업 정책과 관련된 금융을 하기에 적합한 곳이기 때문에 그런 것을 들여오면서 산업은행이 갖고 있는 현안들을 저희가 같이 해결할 생각이다.”

ㅡ본사가 부산으로 이전한다고 하니 산업은행 조직에선 반발이 크다.

“조직의 반대가 있는 것을 안다. 이를 누그러뜨릴 수 있는 선물도 준비하고 있다. 지금 서울에 사는 사람들은 서울에만 살아봐서 모르는데 부산이 더 살기 좋다. 교육 기능도, 아이 잘 키울 수 있는 교육 기능이나 주거 같은 정주 여건 등 새로운 인센티브를 드리려고 한다.

아주 구체적으로 얘기하긴 그렇지만,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특공 같은 것도 생각하고 있다. 제일 큰 문제가 아이들 교육 환경에 대한 서울과의 차이일 것이다. 갭(차이)을 줄이고 오히려 여기에서 국제학교들도 계속 유치하고 있다.

또 내국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국제학교를 계속 유치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들도 유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저희가 아이들 키우기 좋은 환경을 위한 여러가지 정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부산에서 아이들을 키우는 게 오히려 서울 못지 않다는 확신을 주려고 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서울 여의도에 있는 산업은행 본사 사옥. /조선DB

ㅡ부산은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돼 있는데 어떻게 확장할 방침인가.

“금융기능에서 디지털 금융 쪽에 특화하려고 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거래소 같은 건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이기 때문에 공공성이 뒷받침된 디지털 자산거래소를 부산이 선도적으로 만들려고 한다.

지금은 사설 거래소만 있는 형편이니 공적 영역에서 일정하게 이끌어내고 촉진도 하고 네트워킹도 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래서 FTX, 바이낸스, 후비오 등 세계적인 거래소들과도 계속 업무 협약을 맺고 있다.

이전에 블록체인 특구가 됐지만 그때 블록체인 특구라는 건 굉장히 제한적인 개념이었다. 지금은 블록체인 특구를 확장적인 디지털 금융의 본산으로 만들려고 한다.”

ㅡ지표상으로는 국제금융도시 순위가 오르는 등 변화가 있었지만, 아직 부산이 실질적인 금융 허브라고 생각할 만한 변화가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사실 2004년부터 시작됐지만 부산에 금융기관이 내려온 건 10년 남짓 정도밖에 안 됐다. 또 여기 내려왔다고 해도 여전히 기능을 지역으로 하기보다는 전국적으로 하는 기관들이 내려왔다. 지역의 금융도시 기능을 촉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이제 부산이 주도하는 새로운 금융 영역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게 이제 디지털 금융, 블록체인 등이다. 부동산 혁신금융이든 NFT(대체불가능토큰), STO(증권형토큰) 등 이런 쪽에 새로운 대체 거래소들이 필요하다. 지금은 대체 거래소를 다 사설 거래소들이 하니까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다.

그걸 공적으로 인증된 거래소 영역을 만들어서 사설 거래소도 연계하고 새로운 디지털 금융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지금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호응이 괜찮기 때문에 그걸 먼저 하려고 한다.

그리고 선박금융이 굉장히 중요한 영역이다. 부산이 해양 항만 도시라서다. 마침 해양진흥공사 들어와 있고 또 그걸 계기로 유수한 해운 기업들을 본사 유치하려고 노력 중이다. 디지털 금융과 선박 금융이 실질적으로 부산의 금융도시화를 촉진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중앙에서 내려온 금융기관들이 그와 연계가 돼서 일정한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ㅡ홍콩과 같은 금융 허브를 뜻하는 것인가.

“그렇다. 지금까지는 홍콩이 그 기능을 했다. 요즘은 홍콩의 그 기능을 서로 가져오려고 도쿄와 싱가포르가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 한국에선 서울로 그 기능이 가긴 어렵다. 온다면 부산으로 와야한다. 그게 맞다. 그래서 부산을 그런 관점에서도 금융 도시로 확 키운다는 국가 전략이 필요하다.

저희는 그렇게 뛰어들고 있는 거다. 홍콩의 금융 기능을 뺏어오겠다는 차원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금융 흐름이 여기에도 주목하게 만들어야 된다. 그럼 뭘 갖고 주목하게 만들 것이냐. 가장 손쉬운 게 지금은 싱가포르로 가는 것이지만 땅이 한계가 있고 오피스도 없다.

부산으로 올 유인이 될 수 있는 게 산업은행 같은 정책금융기관도 필요하지만 여기에 진짜 필요한 건 디지털 금융으로의 특화다. 그쪽이 사실 일반 주식거래보다 훨씬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국제 유동 자본이 상당 부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런 걸 끌어들일 수 있는 계기로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만들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