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씨 아버지 윤기중씨는 제가 다녔던 연세대의 교수였습니다. 대학교에서도 알던 강의도 들었던 그 교수님이었습니다. 유복하게 일본 문무성 장학금을 받아서 히토쓰바시대학을 졸업하고, 학술원 지원을 받아서 산업부, 그 돌잔치의 엔화가 우리나라 돈 대신 돌상에 놓였을 정도로 일본과 가까운 유복한 연대 교수의 아들로 태어난 윤석열씨는 사법고시에 합격해서, 서울 법대를 나오고 검사로서 검찰총장으로 갑의 위치에서 살다가 다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며 공정과 상식을 외치고 나와 있는데, 그 개인과 아내가 모두 비리 의혹에 싸여있습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1 민평련 정기총회에서 한 말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부친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가 일본의 지원을 받았고, 윤 후보 돌잔치에 한국 돈이 아닌 일본 엔(円)화가 돌상에 놓였다는 주장이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측이 윤 전 총장 SNS에 올린 윤 전 총장의 돌 잔치 사진. /윤석열 인스타그램

그런데 조선비즈가 한국은행과 일본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옛 지폐를 확인한 결과, 윤 후보의 돌상에는 엔화가 아닌 한국돈 ‘천환’이 놓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네티즌, 尹 돌사진 보고 ‘일본 엔화’라고 주장

송 대표가 ‘엔화’라고 주장한 지폐는 지난달 20일 윤 후보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돌잔치 사진에 등장한다. 윤 후보의 앞에 지폐 7매가 놓여 있는데, 이 지폐가 한국 돈과 모양이 다르고 일본 엔화라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인 친여(親與)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져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달 말 “네티즌 수사대가 발견했다”며, 해당 지폐가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는 엔화와 모양이 유사하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돌잔치 사진에서 지폐 부분을 확대했다.
1960년 8월 15일 발행된 '천환' 지폐. /한국은행 제공
1960년 8월 15일 발행된 '천환' 지폐 설명. /한국은행 홈페이지 캡처

그러나 윤 후보가 돌잔치를 했던 1961년 12월에 한국과 일본에서 쓰였던 옛 지폐를 보면 엔화가 아닌 당시 한국에서 쓰이던 ‘환’과 모양이 같다.

이승만 정부 당시 한국의 지폐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등장했다. 그러나 1960년 4·19혁명으로 이 전 대통령이 하야했고, 한국은행은 1960년 8월 15일 이 전 대통령 초상의 자리에 세종대왕을 넣은 새 지폐 ‘1000환’권을 발행했다. 윤 후보의 돌 사진에 등장하는 것처럼 좌측에 글자 두 개가 적혀 있고, 오른쪽에 사람 얼굴이 그려져 있다.

1953년 발행돼 1974년까지 사용된 일본 백엔권. /일본은행 홈페이지 캡처
1950년 발행돼 1965년까지 사용된 일본 천엔권. /일본은행 홈페이지 캡처

반면 당시 일본에서는 이런 모양의 지폐가 사용되지 않았다. 일본은행에 따르면 1엔권과 50엔권은 1958년, 5엔권과 10엔권은 1955년 발행이 정지됐다.

1961년 시점에 일본에서 쓰이고 있던 지폐 중 ‘두 글자’로 화폐 가치를 적은 지폐는 100엔(百円)권과 1000엔(千円)권 두 가지다. 100엔권과 1000엔권 모두 각각 ‘백엔(百円)’과 ‘천엔(千円)’이라는 글자가 지폐 가운데에 적혀 있다. 윤 후보 돌사진에 등장하는 지폐와 다르다.

또 윤기중 교수가 일본 유학을 간 시점도 윤 후보 돌잔치 이후다. 윤기중 교수는 1956년 연세대 상경대 경제과를 졸업하고, 1958년 연세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히토쓰바시대 대학원에는 1966년부터 1968년까지 다녔다. 그 후 연세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이양수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조선비즈 통화에서 “송 대표가 말한 지폐는 엔화가 아닌 옛날 한국 돈 천환”이라며 “왜곡과 거짓을 일삼는 송 대표는 즉시 허위 발언을 바로잡고 머리 숙여 사과하기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