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5일 전세계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관련해 “모든 나라에 백신이 충분히 보급되지 않고서는 계속되는 변이 발생과 코로나 확산을 막을 수 없다”며 “대한민국이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개최한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 모두 발언에서 “결국 문제 해결의 근본 해법은 백신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일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백신 부국은 ‘부스터샷’, 다수저소득 국가는 접종 완료 어려워”
문 대통령은 이날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확산하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상황이 다시 악화하고 있다”며 “끝이 잘 보이지 않는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어 수단은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코로나1 백신이 전세계적으로 선진국 중심으로 물량이 배분되고 있는 상황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신 보급의 국가별 격차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일부 백신 부국들은 ‘부스터 샷’을 계획하는 반면, 다수의 저소득 국가는 내년까지도 접종 완료가 어려운 백신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적인 코로나 백신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이 국내 백신 생산 확대다. 문 대통령은 “’글로벌 백신 허브’를 국가 전략으로 강력히 추진하여 인류 공동의 감염병 위기 극복에 기여하겠다”며 “우리는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도 “글로벌 백신 허브의 구축은 전 세계적인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인류를 지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전 세계적인 백신 수요와 공급 간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백신, 반도체·배터리와 함께 ‘3대 국가전략기술’ 선정”
전세계 백신 해결사로 한국이 나서기 위해 문 대통령은 ▲2025년까지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 도약 ▲국산 백신 신속한 개발 등 두 가지를 과제로 제시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 도약을 위해 “정부는 백신을 반도체, 배터리와 함께 ‘3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로 선정하고, 앞으로 5년간 2조2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 세제 지원확대, 소재·부품·장비 자급화도 방안으로 언급했다.
백신 인력 양성 계획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연간 200명 이상의 의과학자를 새롭게 육성하겠다”며 “임상시험 전문인력 1만명, 바이오 생산 전문인력 연간 2000명 등 바이오의약품 산업 인력 양성에 힘쓰겠다”고 했다.
◇'K-mRNA 백신’도 개발 중 “올해 안 임상시험 진입 가시화”
국내 기업이 개발한 코로나 백신, 이른바 ‘K-백신’에 대해서는 “이달 중 국내 기업 개발 코로나 백신이 임상 3상에 진입할 예정”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국산 1호 백신의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재 화이자와 모더나가 생산하고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백신 국내 기업이 개발하도록 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mRNA 백신 개발도 속도를 내고 있다”며 “생산 핵심기술의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으며, 올해 안에 임상시험 진입도 가시화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는 비록 늦더라도 이번 기회에 mRNA백신까지 반드시 개발하여 끝을 본다는 각오를 가져 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날 회의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 1차 회의를 겸해 열렸다. 추진위원장은 국무총리이지만, 국산 백신 개발과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화를 강조하기 위해 문 대통령이 첫 회의에 참석했다.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에는 민간 기업에서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 김두현 이셀 대표가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김부겸 국무총리와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 정은경 질병관리처장, 이강호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과 이호승 정책실장, 이태한 사회수석, 기모란 방역기획관 등이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