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9일 “한계돌파형 기술개발 투자, 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한 파격적인 금융·세제 지원 등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수소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같은 세계에서 앞서가는 친환경 기술과 제품을 더 많이 육성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 참석, 격려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서 “국민연금기금이 탈(脫)석탄 선언을 하고 투자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고려하기로 한 것처럼, 공공부문이 혁신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총동원해 주기 바란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Net-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은 인류가 함께 가야 할 피할 수 없는 과제”라면서 “우리는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제조업 비중이 높고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우리의 산업구조를 감안하면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도 “우리는 이미 배터리, 수소, 태양광 등 우수한 저탄소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가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50 탄소중립위는 국무총리와 민간전문가가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통령 직속기구다. 모든 영역의 탄소중립 정책을 마련하고 이행을 주도하는 탄소중립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앞에서 ‘2021 P4G 서울 정상회의’홍보 문구를 랩핑한 수소차를 둘러보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 대통령은 “우리의 도전이 성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역량이 결집돼야 한다”면서 “탄소중립위원회가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춰 저탄소사회 전환을 반드시 이뤄달라”고 했다. 이어 탄소중립위 위원들을 향해 “국민적 합의에 기반해 에너지, 산업, 수송, 건물 등 분야별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 수단을 구체화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국회와 긴밀히 협의해 탄소중립기본법을 조속히 마련하겠다”며 “내년부터 기후대응기금을 조성해 탄소중립위의 성공을 확실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