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올 상반기 한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9.1% 증가한 3348억 달러, 무역수지는 2018년(311억 달러) 이후 상반기 기준 최대 규모인 231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뉴스1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지난 4월 발표한 전망치 대비 0.2%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전망치보다는 0.1%p 낮고, 한국은행이 제시한 전망치와는 동일하다. 올초부터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분야의 업황이 회복하면서 수출이 증가하고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IMF는 16일 발표한 ‘7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제시했다. 종전 전망과 동일하다. IMF는 “아시아 지역의 수출 증가 등 세계 무역 회복의 영향으로 세계 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선진국 그룹의 2024년 성장률은 지난 전망과 동일하게 1.7%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의 성장률은 2.6%로 종전 전망치보다 0.1%p 하향 조정했다. 1분기 미국의 주요 실적이 예상을 하회했다는 점을 반영했다.

프랑스(0.9%, +0.2%p), 영국(0.7%, +0.2%p), 스페인(2.4%, +0.5%p) 등 유럽 국가들의 성장률은 실질 임금 상승, 금융 여건 개선 등에 따라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일본(0.7%, -0.2%p)은 지난 1분기 일부 자동차 업체 출하 정지 등 일시적 생산 차질을 감안해 성장세 둔화를 예상했다.

한국의 성장률은 선진국 그룹에서 미국 다음으로 높았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2%로 종전 전망치보다 0.1%p 하향 조정했다.

IMF는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에 비해 0.1%p 상향한 4.3%로 제시했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은 5.0%로, 민간소비 반등과 견조한 수출을 근거로 종전 전망치보다 0.4%p 상향 조정했다. 인도의 올해 성장률은 7.0%로 제시했다. 작년 양호한 성장에 따른 이월효과와 소비 회복 추세를 반영해 종전 전망 대비 0.2% 상향 조정했다고 IMF는 설명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의 상하방 요인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상방 요인으로는 구조 개혁을 통한 생산성 증가, 다자 간 협력 강화를 통한 무역 확대를 꼽았다. 하방 요인으로는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물가 상승, 고물가로 인한 고금리 상황 지속, 선거 결과에 따른 정책 급변을 지목했다.

IMF는 각국의 통화정책에 대해서 “인플레 리스크가 남아 있을 경우 금리 조기 인하를 자제하고 필요시 추가 인상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며 “물가 안정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가 뒷받침될 때에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와 함께 경제활동 인구 확대를 위해 여성·이민자 인력 활용을 확대하고, 자국우선주의 무역 왜곡 조치를 지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IMF는 매년 1월과 4월, 7월, 10월에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과 10월에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전망을 발표하고, 1월과 7월은 주요 30개국(한국 포함)을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