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 감축과 경제적 성과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기후테크 산업 육성에 나선다. 민간과 함께 오는 2030년까지 145조원을 투자해 유니콘(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기업) 10개를 육성하고, 관련 수출 규모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기후테크 분야 신규 일자리도 10만개 창출하겠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6월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4차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4차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기후테크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이다. 탄소중립의 필요성과 함께 주요국의 관심과 투자 규모도 날로 커지고 있다. 산업부도 시장 선점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기후테크 산업에 민관 합동으로 145조원을 투입하고, 관련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펀드와 초격차 펀드를 신설해 4000억원이 넘는 정책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기업형 벤처캐피털(CVC)과 임팩트 투자 등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 연계한 2000억원 규모 민간 투자도 활성화한다. 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융자보증 등 기후금융은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기후테크 산업 인증과 K-택소노미 연계 인증으로 135조원 규모의 민간 5대 금융그룹 투자 유치도 지원한다.

유망 기후테크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실증, 사업화 과정을 연계한 1조원 규모의 기후문제 해결형 대규모 연구개발(R&D)도 추진한다. 규제 혁신 등을 통해 조속한 사업화를 돕고, 이를 토대로 해외시장 진출을 유도해 수출 규모 100조원 달성을 이룬다는 목표다.

또 정부는 에너지 산업 융복합 단지와 R&D 특구, 녹색융합클러스터 등 각 지역 특구와 산단 협력체계를 구축해 실증특례, 투자설명회, 컨설팅 등 사업화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공공기관과 동반협력 강화, 기후산업 국제박람회와 연계한 글로벌 그린허브 코리아 역할 확대 등 기후테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국내 소재 국제기구와 협력을 통해 해외진출 R&D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기후테크 산업 성장기반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민간 주도의 자발적 탄소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증표준과 지침을 고도화하고, 온실가스 감축 사업 계획에 타당성평가와 감축실적 검증을 위한 컨설팅도 지원한다. 산업부는 “혁신연구센터 고도화와 에너지융합대학원 확대, 수출 특성화 프로그램 신설 등 수출시장 경험을 갖춘 융합형 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라며 “국내 대학과 연계한 기후테크 센터도 설치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