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전경. /뉴스1

국토교통부는 정밀도로지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축을 위해 ‘자율주행 디지털 맵 포럼’을 발족했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에서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한다.

20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는 자율주행 기술과 전자지도 제작 기술 관련 총 52개 기관이 참여했다. 공공기관 6곳과 민간기업 39곳, 연구원 2곳과 학계 2곳, 협회‧재단법인 3곳이 함께 포럼을 진행한다.

도로 변화정보 등의 공유 방안을 논의하는 ‘사업협력 분과’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주도해 이끈다. 정밀도로지도 표준화와 제도·규제 개선사항을 발굴하는 ‘제도협력 분과’에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연구과제를 발굴·기획하는 ‘기술협력 분과’에는 한국도로공사가 함께 추진한다.

그동안 국토부는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 주요 도로를 대상으로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했다. 국토부는 2021년 기준 2만653km의 정밀도로지도를 만들었다.

국토부는 정밀도로지도의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도로관리청에서 변경된 정보를 국토부와 공유하는 ‘자율주행자동차법’을 통해 최신 정밀도로지도를 제공하도록 추진해왔다. 그러나 정밀도로지도 구축 물량이 많아지면서 변화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갱신 비용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 정밀도로지도 관련 업계가 변화정보 수집을 위해 회사별로 인력 및 장비를 별도로 투입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국토부는 민관이 협업해 통합된 정밀지도로 갱신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현재 민관이 각각 별도로 1년마다 업데이트하고 있는 정밀도로지도 갱신 주기를 내년까지 민관이 협력해 1달 이내로 단축하고, 2030년에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포럼은 반기별 한번 열리는 전체회의와 분기별 한번 진행되는 분과회의로 구분돼 개최될 예정이다. 각 분과 회의에서는 민관이 수집해야 하는 도로 변화 정보의 종류와 형식, 관련 정보의 공유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민관이 중복으로 투입해 왔던 비용이 절감되고 정밀도로 갱신 주기가 단축돼 자율주행차 도입 시기 단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