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20·30대의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새 약 10만개가 사라지는 등 청년층의 취업난이 지속됐다. 반대로 50대 이상 연령대의 일자리는 41만개가량 늘었다. 공공행정과 보건·사회복지 등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으로 파악된다. 이에 비해 제조업 일자리는 6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의 감소세가 두드러지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 충격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2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99만7000개로 1년 전과 비교해 32만1000개(1.7%) 늘었다. 임금근로 증가 폭은 지난해 2분기(21만1000개) 이후 3분기(36만9000개), 4분기(50만3000개)까지 확대됐지만, 올해 들어서는 소폭 꺾인 모습이다.

학생들이 교내에 설치된 채용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모습. /조선DB

특히, 청년층의 일자리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317만2000개로 전년 대비 3만5000개(-1.1%) 줄었고, 30대는 6만3000개(-1.5%) 감소한 427만5000개로 집계됐다. 20대 이하와 30대의 임금근로 일자리는 각각 5분기, 6분기 연속 하락세다.

반면 60대 이상의 경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전에 비해 29만2000개(12.5%) 늘어난 263만3000개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의 일자리는 466만3000개, 425만4000개로 각각 1만개(0.2%), 11만7000개(2.8%) 증가했다.

5060세대의 일자리수 증가는 정부가 예산으로 집행하는 공공일자리 영향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숙박·음식업에서 7만2000개(-8.3%), 제조업에서 2만8000개(-0.7%)의 일자리가 줄었다. 특히 숙박·음식업은 5개 분기 연속 감소 추세로 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14만8000개(+7.3%), 공공행정 분야는 7만개(+5.8%)가 늘어 전체 일자리 증가를 주도했다. 정부의 일자리사업과 더불어 사회 고령화에 따른 복지·의료 인력 수요 확대에 따른 것이다. 올해 1분기 전체 일자리가 32만1000개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이 2가지 업종에서만 증가분의 70%를 채운 셈이다.

이외에 전문·과학·기술(5만6000개), 건설업(5만개), 도소매(3만9000개), 교육(2만4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고, 사업·임대(-1만4000개), 운수·창고(-1만개), 예술·스포츠·여가(-1만개) 등은 줄었다.

/통계청

조직형태로 보면 회사 이외의 법인이 16만1000개, 정부·비법인단체 12만개, 회사법인이 8만5000개 늘어난 반면, 개인 기업체는 4만4000개 감소했다. 개인기업체 일자리는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10만4000개, 여자는 21만7000개의 일자리가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은 남자가 57.7%(1096만1000개), 여자가 42.3%(803만6000개)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 정책 영향으로 50·60대 일자리가 늘었지만 공공행정 일자리 증가 폭 자체는 전분기에 비해 감소했다”며 “보건복지 관련 일자리가 증가하면서 60대 이상에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