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극장판 포스터(오른쪽)와 올해 가장 많이 읽힌 웹툰으로 꼽힌 '화산귀환'(왼쪽)./각 사 제공

정부가 국산 만화·웹툰 세계화에 65억원을 추가 투입한다고 밝히면서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도 정부 부처 예산이 전반적으로 삭감된 가운데 콘텐츠 투자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지만, 추가 지식재산권(IP) 개발보다는 해외 사업 수익성 개선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정부, 만화·웹툰 글로벌 진출에 65억원 추가 투자

18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에 따르면, 만화·웹툰 분야 지원액은 2024년 126억400만원에서 내년 210억3300만원으로 84억원 정도가 늘었다.

만화·웹툰 분야에서는 국산 작품 세계화를 위한 신규 사업이 2건 마련됐다. 콘진원은 내년에 ▲글로벌 웹툰 지식재산권(IP) 제작을 지원하고, ▲현지화 콘텐츠 발굴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예산은 각각 45억5000만원·20억원씩 총 65억원이 산정됐다. 콘진원 관계자는 “구체적인 계획은 연초에 공개될 예정”이라며 “올해 인기를 끈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과 같은 슈퍼 IP 발굴을 위해 추가 지원을 계획했다”라고 설명했다. ‘나혼렙’은 2016~2018년 연재된 유명 웹소설로, 인기에 힘입어 웹툰,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로도 제작됐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 11일 2025년도 예산이 7조672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본예산보다 1127억원(1.6%) 증가한 규모다. 콘텐츠 부문은 총 1조2715억원의 예산이 확정됐다. 문체부는 만화·웹툰 해외 진출에 총 135억원을 투자하면서 전년보다 예산을 65억원 늘렸다고 설명했다.

◇ 투자 늘어난 건 좋지만… “IP 발굴 이후 플랫폼 유지는 어떡하나”

웹툰업계는 정부가 투자를 늘린 것은 반길 일이지만, 신사업의 방향성은 아쉽다고 지적한다. 투자가 활발한 신규 IP 발굴 사업보다는, 이미 진출한 작품에 대한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최근 웹툰업계는 유럽과 동남아 시장 등에서 서비스를 축소하고 있다. 한국 제품이 인기가 없거나 콘텐츠가 모자라서가 아니라, 불법 유통이 성행하면서 현지 마케팅 비용 등 지출 대비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웹툰업계는 불법 웹툰 유통 업체들로 인해 매년 수천억원의 피해를 보고 있다. 웹툰업체들의 핵심 수익원은 ‘유료 콘텐츠’인데, 불법 사이트들은 도박 광고 등으로 이익을 내면서 작품을 무료로 퍼트린다. 결국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0월 인도네시아와 대만 웹툰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어 서비스만 유지한 상태다. NHN도 최근 대만 사업을 접었으며, 2022년부터 태국과 베트남 사업도 축소하고 있다.

웹툰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웹툰 IP 생산은 사실상 포화상태에 가깝다”라며 “지자체에서도 자체적으로 작가를 발굴하는 등 투자는 계속 이뤄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콘진원이 구체적인 신사업 계획을 발표해야겠지만, 해외에 진출한 이후 구체적으로 어떻게 유통하고 어떻게 수익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라고 전했다.

정부는 작품 현지화 없이는 해외에서 국내 웹툰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콘진원은 ‘2025 콘텐츠수출전망 및 지원전략’에서 미국이나 일본은 현지 플랫폼에 현지 작가들이 진출하고 있어 한국 웹툰의 힘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불법 유통 문제와 관련해서는 “저작권관리위원회와 협업을 통해 캠페인 등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부처 특성상 IP 지원에 집중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