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사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네이버TV’를 유튜브처럼 누구나 채널을 개설해 활동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으로 전환한다. 네이버TV와 연계한 숏폼(짧은 영상) 서비스 ‘클립’ 콘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전략이다. 클립은 올해 안으로 네이버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과도 연동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15일 네이버에 따르면 네이버TV는 올 3분기 중으로 채널 개설 조건을 없앤다는 계획이다. 현재는 유튜브나 블로그 등 다른 플랫폼에서 구독자를 100명 이상 보유해야 네이버TV 내 채널 개설이 가능하다.
지난 2012년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TV는 드라마·스포츠·예능 시청뿐 아니라 유튜브처럼 개인방송까지 진행할 수 있는 네이버의 통합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지난해 네이버의 또 다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나우’와 통합해 PC 버전은 네이버TV, 모바일 앱은 네이버 나우로 운영 중이다.
과거 네이버TV에서 채널을 개설하려면 다른 플랫폼에서 구독자 300명 이상을 확보해야 했지만, 지난 2019년 1월 100명으로 기준을 완화한 바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 수업과 종교 활동 등이 늘면서 기준을 낮춘 것이다. 현재 종교단체나 법인이 아닌 개인 창작자의 라이브 방송은 구독자가 300명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유튜브, 메타, 틱톡 등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이 동영상 생태계를 장악한 상황에서, 네이버TV가 진입 장벽 때문에 일반 창작자를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평가가 많았다. 유튜브 등은 채널 개설 조건 자체가 없다.
최근 콘텐츠 시장에서 일반 창작자 중심의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숏폼이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네이버도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네이버TV 채널은 주요 방송사 및 기업들이 생산하는 콘텐츠가 대다수로, 기존 TV 방송을 편집해 업로드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한 때 200만명에 육박하던 네이버TV 앱(네이버 나우)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지난달 약 31만명으로, 유튜브(약 4624만명)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이에 네이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클립을 중심으로 동영상 플랫폼 전략에 변화를 꾀하고 있다. 클립은 지난해 8월 네이버가 선보인 숏폼 서비스로 현재 네이버TV, 나우, 블로그와 연동돼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클립 출시 이후 현재까지 일간 재생 수가 매월 평균 20%씩 증가하며 순항 중이다.
네이버TV가 오픈 플랫폼으로 전환하면 더 많은 일반 창작자가 유입돼 클립 콘텐츠를 생산할 것으로 네이버는 기대하고 있다. 현재는 네이버가 올 상반기 선정한 2000여명의 크리에이터가 중심이 돼, 전체 클립 재생 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네이버는 클립을 네이버TV, 나우, 블로그에 이어 치치직과도 연내 연동을 목표로 작업 중이다. 치지직은 네이버가 지난 5월 정식 출시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클립과 함께 핵심 동영상 서비스로 키우고 있다. 지난 5월 숏폼 편집 프로그램인 ‘클립 에디터’를 적용한 바 있다.
향후 클립과 완전 연동되면 치지직 스트리머들은 기존 라이브 영상을 클립용으로 올릴 수 있고, 클립의 보상 체계까지 공유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TV 개방과 맞물려 좀 더 창작자 친화적으로 클립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 중”이라면서 “향후 치지직까지 연동이 완료되면 클립의 콘텐츠 다양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