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지난해 세계적으로 삭제·차단한 광고가 분당 1만건에 달했다. 구글은 딥페이크(AI로 만든 이미지·영상 조작물) 기술로 유명인을 사칭해 이용자를 속이는 광고를 신속 탐지·차단하기 위해 광범위한 자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구글은 27일 플랫폼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난해 노력과 성과를 담은 ‘2023년 광고 안전 보고서’(Ads Safety Report)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해 약 55억건의 정책 위반 광고를 삭제하거나 차단했다. 여기에는 네트워크 남용 방지 정책을 위반한 광고 약 10억개, 사기 수법을 포함한 허위 진술 정책 위반 광고 2억650만개, 금융 서비스 정책을 위반한 광고 2억7340만개 등이 포함됐다. 69억개의 광고는 제한된 이용자에게만 노출되도록 했다. 악의적으로 정책을 위반하는 1270만개의 광고주 계정을 차단하고, 21억개가 넘는 페이지에서 광고 게재를 차단하거나 제한했다. 광고주의 선거 광고 약 730만건도 삭제했다.
구글은 기계학습(머신러닝), 생성형 인공지능(AI), 거대언어모델(LLM) 등 기술을 활용해 대량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탐지·검토해 빠른 조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LLM은 정상적인 콘텐츠와 미세한 사기성 콘텐츠 사이의 뉘앙스를 더욱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고 했다.
구글은 지난해 출시한 범용 AI 모델 ‘제미나이’를 통해 향후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집행이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관련 전담팀(TF)을 꾸리고, 광고 정책 업데이트를 지속하고 있다.
구글은 딥페이크 광고를 막기 위해 투자를 지속할 방침이다. 올해 세계 70여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가운데 구글은 지난해 11월 모든 선거 광고에 자금 출처 공개를 의무화하고, 합성 콘텐츠가 포함된 선거 광고에 대한 공개 요건을 세분화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런 구체적 조치를 마련한 사례는 테크 기업 가운데 최초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