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 배치된 로봇 세로&가로가 서버 렉을 이동하는 모습./네이버 제공
광택이 반짝이는 복도를 따라 기계음이 울려 퍼진다. 로봇들은 데이터센터 내부의 자동문을 통과한다. 마치 체스판 위를 움직이는 말처럼 정교하게 3.2미터(m) 높이의 서버 랙 사이를 이동한다. 인간 엔지니어가 손을 대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빈틈없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한다.

지난 6일 가동을 시작한 네이버의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다녀왔다. 네이버의 첫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춘천’이 네이버 서비스만을 위한 곳이었다면, 각 세종은 네이버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와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진 기지다.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대로 824번지에 위치한 각 세종 입구에 들어서자 마치 할리우드 영화 속에나 있을 법한 거대한 미래형 회색빛 건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축구장 41개 크기인 29만4000m2(제곱미터) 부지 위에 자리잡은 각 세종은 단일 기업 데이터 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60만 유닛(Unit, 서버의 높이 단위규격)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 전체 데이터의 약 100만배에 달하는 수준인 65엑사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전경./네이버 제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초대규모 AI와 같이 고성능 연산 처리에 최적화된 GPU(그래픽처리장치)를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하고 있으며, 슈퍼컴퓨터가 클러스터 형태로 대량 구축된 사례도 네이버가 유일하다”면서 “현재 오픈된 공간은 각 세종 전체 규모의 1/6에 불과하며, 향후 기술 발전과 데이터 증가량에 따라 인프라와 공간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지진을 대비해서는 원자력발전소 수준의 건물에 적용하는 특등급 내진 설계를 건물 구조체 뿐 아니라 서버랙 단위까지 적용했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 지진 강도에 해당하는 진도 9.0, 규모 7.0 수준의 지진에도 안전한 것으로 평가받는 등급이다.

각 세종 데이터센터 관제센터 전경./네이버 제공

김재필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엔지니어링 리더를 따라 운영동 건물 3층에 자리한 각 세종의 심장부 관제센터를 방문했다. 이 곳은 안정적인 데이터센터 운영과 출입 통제를 담당하는 공간이다. 10여명의 인원이 대형 모니터 12대에 둘러앉아 각자 맡은 영역을 집중 모니터링하는 모습은 다른 데이터센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각 세종에서 단연 돋보이는 존재는 바로 운영동 건너편에 있는 서버동의 로봇이다. 로봇이 서버 랙 안팎을 분주히 오가며 데이터센터 운영 경쟁력을 한 차원 높이고 있다. 흔히 공상영화 속에서나 상상했던 모습이 각 세종 안에서 현실로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로봇 '세로'가 서버를 구축하는 모습./네이버 제공

서버동에는 네이버랩스에서 자체 개발한 로봇 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됐다. 데이터센터의 핵심 자산인 서버를 꺼내고 삽입하며 관리하는 로봇 ‘세로’와 서버실과 창고를 오가며 고중량의 자산을 운반하는 로봇 ‘가로’가 주인공이다.

이 로봇들은 복잡한 서버 랙을 유연하게 오가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서버 랙 높이가 3.2m인데 로봇 또한 같은 높이로 설계돼 사람의 손길이 닿기 어려운 높은 공간까지 서버의 설치와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김 리더는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특징적인 부분은 로봇이 돌아다닐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GPS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도 로봇의 현재 위치와 경로를 정확하게 알려주고, 로봇의 이동과 태스크 수행을 위한 계획과 처리를 대신한다”고 설명했다.

로봇 '가로'가 서버를 싣고 이동하는 모습./네이버 제공

실제 로봇의 움직임에 맞춰 서버동의 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혔다. 이들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서로 통신하며 작업을 조율하고 서버를 정밀하게 제어한다. 김 리더는 “현재 세로 로봇과 가로 로봇은 각각 2대씩 운영 중인데 앞으로 수요에 맞춰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가로 로봇은 약 3.5인치 높이의 2U 서버 최대 7개를 동시에 실어 이동할 수 있다. 서버 7개를 실은 무게는 400kg에 달한다. 로봇은 자율주행으로 데이터센터 서버동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이를 운반한다. 엔지니어는 서버의 배선 작업만 담당하면 돼 서버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 시간을 이전보다 최대 50% 단축했다.

김 리더는 “로봇은 서버의 종류와 상태를 구분해 유연하게 움직이며 데이터센터 내 여러 장소로 이동시킨다”며 “이를 통해 24시간 스케일업 자동화가 가능해졌다. 로봇이 없었다면 현재 각 세종의 인원 130명만으로 데이터센터 운영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 세종에서 또 하나 눈에 띄는 기술은 바로 무인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다. 데이터센터 내부의 빠른 이동을 위해 직원들은 키오스크에서 목적지를 설정하고 자율주행 셔틀 ‘알트비’를 호출할 수 있다. 현재 알트비 2대가 운영 중이고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각 세종은 자연과 공존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각 세종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공조 시스템인 나무(NAMU, NAVER Air Membrane Unit) 설비를 활용해 자연 바람으로 24시간 돌아가는 서버실을 냉각한다. 각 세종에 적용된 나무는 3세대 공조설비로, 각 춘천에서부터 쌓아온 1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반영해 세종시의 기후 변화에 맞게 직·간접 외기를 적절히 냉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각 세종 나무(NAMU) 공조시스템./네이버 제공
각 세종 나무(NAMU) 공조시스템./네이버 제공

김 리더는 “각 세종은 국제 친환경 건물 인증 제도인 LEED에서 데이터센터로는 세계 최고 점수인 95점을 받아 LEED v3 플래티넘을 획득한 ‘각 춘천’보다 한 단계 더 엄격한 LEED v4 플래티넘 획득에 도전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각 세종의 외벽에 친환경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등 자재부터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각 세종은 현재 오픈한 크기에서 최대 6배 더 확장될 예정이기 때문에 로봇과 자율주행을 활용한 운영 효율화 역시 미래의 10년을 먼저 생각하고 대비한 것”이라며 “1784가 첨단 기술이 집약된 스마트한 오피스 공간이라면, 각 세종은 미래 산업 현장의 새로운 레퍼런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