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검색 서비스 '큐:'./네이버

“아직은 큐:가 네이버 검색엔진을 대체하기보다 큐:와 기존 네이버 검색이 동시에 제공되는 ‘하이브리드형’으로 나아가는 게 적합해 보입니다.”(김명주 서울여대 바른AI연구센터장)

“인공지능이 자체적으로 다단계 검색을 해서 하나의 답변을 생성하는 게 이용자들이 원하는 차세대 검색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아직 환각이나 답변 오류 측면에서는 미완성된 모습입니다.”(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네이버가 지난 20일 베타서비스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 ‘큐:’를 공개했다. 큐:는 네이버가 지난 8월 챗GPT의 대항마 격인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만든 AI 검색 서비스다. 네이버 측은 큐:에 대해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 질의도 명확하게 이해하고, 스스로 체계적인 검색 과정을 거쳐 답변을 생성한다”라며 “쇼핑, 페이, 플레이스 등 폭넓은 네이버 생태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네이버 검색이 추구하는 다양성과 연결의 가치를 한 차원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설명했다.

조선비즈는 ▲김명주 서울여대 바른AI연구센터장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 등 전문가에게 큐: 체험 후기를 물었다. 아직은 네이버가 국내 검색 시장의 선두주자지만,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큐:가 구원투수 역할을 해낼지 물었다.

전문가들은 큐:가 자체적인 다단계 검색 결과를 하나의 답변으로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차세대 이용자들이 원하는 검색 방향이지만, 아직 해결해 나가야 할 보완점이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자체적인 다단계 검색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통해 다음 버전의 검색엔진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도 “하이퍼클로바X의 제약점이 큐:에서도 나타나 아직은 큐:가 네이버 검색엔진을 대체하기보다 편리한 하나의 옵션으로 쓰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 역시 “기존 검색은 검색한 것에 대한 각각의 페이지 결과를 링크로 제공하는 식이다면, 큐:는 여러 페이지에 나온 것을 종합해 하나의 답변으로 제공하는 미래 세대가 원하는 검색 방향을 보여줬다”면서도 “다만, 아직 정확성이 부족해 완결성은 떨어진다”라고 말했다.

김명주 서울여대 바른AI연구센터장이 네이버 큐:를 사용한 모습./김명주 서울여대 바른AI연구센터장

체험 결과 언어 모델의 태생적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이 클로바X에 이어 큐:에서도 일부 나타났다. 환각은 허구를 진실인 것처럼 현상을 말한다. 가령 김 센터장이 “서울여대 김명주 교수가 올해 맡은 직책은 뭘까”에 대해 묻자 큐:는 과거 몇 년 전 김 센터장의 직책을 ‘2023년’ 직책이라고 단언했다. 이 교수가 자신에 대해 큐:에 검색한 결과 그의 학력과 전공이 틀리게 나왔다. 이 교수가 특정 교수에 대해 검색한 결과에서도 이메일이 다른 사람의 것으로 잘못 답변됐다. 하지만, 해당 정보들은 기존 네이버 검색에서는 제대로 나왔다. 이 교수는 “환각과 오류가 많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큐:는 생성형 AI의 법적 우려 때문인지, 개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일부러 제공하지 않는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가령 김 센터장이 “KAIST 김진형 교수님의 최근 근황을 찾아줘”라고 검색 명령을 넣자 큐:는 “정보를 제공해 드릴 수 없습니다.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려면 관련 기관이나 언론사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전화 또는 이메일로 문의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김 센터장은 “사용자가 네이버로 직접 검색하면 다 얻을 수 있는 정보이지만, 내부적으로 하이퍼클로바X를 거치면서 큐:가 답을 내놓은 바람에 답변을 거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큐:가 기존의 네이버 검색엔진을 대체할 수준의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병행, 병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암시한다”라고 말했다.

큐:는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지 않은 답을 제공하기도 했다. 가령 김 센터장이 “오늘 저녁에 음악 공연을 들으면서 식사할 수 있는 장소를 서울 근교에서 찾아줄래?”라고 묻자 큐: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카메라타’와 경기도 의정부에 위치한 ‘경기평화광장 북카페’를 추천했다. 사용자는 ‘식당’ 검색 결과를 원했지만 큐:는 ‘카페’를 추천한 것이다.

큐:가 네이버 생태계와 연결돼 있지만, 네이버 지도에서는 제공하는 정보를 답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김 센터장이 “내일 오전 9시 목포대에서 강의가 있는데, 서울시 서초구 우면동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해 늦지 않게 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줘”라고 묻자 큐:는 “(해당경로에 대한) 대중교통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지역의 대중교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린다”라고 답했다.

이 교수는 “생성형 AI가 아직 발전하고 있는 단계이고, 아직 환각과 오류가 완전히 잡힌 AI 검색 서비스를 선보인 빅테크는 없다”면서도 “AI 검색 큐:가 네이버의 터닝포인트(전환점)가 될지는 서비스를 얼마나 잘 완성하는지에 달렸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