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화웨이의 신형 휴대폰에 SK하이닉스 제품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SK하이닉스가 경위 파악에 나선 가운데, 화웨이가 2020년 미국 제재 이후 출시한 휴대폰과 태블릿에 해외 메모리 기업 제품이 탑재된 것이 확인됐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디지타임스는 이날 화웨이가 출시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제품에 글로벌 주요 메모리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일본 키옥시아뿐 아니라 미국 회사인 마이크론의 제품도 탑재됐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중국 메모리 회사인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와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제품은 사용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글로벌 주요 메모리 업체들은 2020년 발표된 미국의 수출 통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화웨이와의 거래를 중단한 상태다.
디지타임스가 이전에 나온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전 세대 모바일 제품인 ‘메이트 40 프로’와 ‘메이트 50 프로’를 비롯해 태블릿 제품인 ‘메이트 패드 11′과 ‘메이트 패드 프로 11′ 등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키옥시아의 제품이 확인됐다. 그중 메이트 40 프로는 삼성전자의 LPDDR5, 메이트 50 프로는 SK하이닉스 LPDDR5가 탑재됐고 롬(ROM)으로는 키옥시아의 UFS3.1이 채택됐다. 메이트 패드 11의 D램은 마이크론, 메이트 패드 프로 11은 삼성전자 제품을 각각 채택했다고 디지타임스는 전했다.
최근 발표된 화웨이 신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 분해 보고서에 따르면 D램과 낸드 모두 SK하이닉스 제품이 탑재됐다. 다만 이는 수년 전 출시된 구형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 조치가 도입된 이후 화웨이와 더는 거래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업체들이 제품 납품 시 고객에게 제재를 위반하지 말 것을 요청하지만 전체 공급망의 부품 흐름을 통제하기는 어렵고, 다른 국가를 통해 재판매되거나 여러 업체를 거쳐 출하될 수 있다”며 “미국이 이를 엄격히 금지하지 않는 것은 메모리에 대한 경계심이나 민감도가 중국이 자체 개발하는 로직 반도체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LPDDR5가 16나노(1나노=10억분의 1m)급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한다. 화웨이 메이트 시리즈 모바일 제품은 최근 3년간 LPDDR5 규격을 채택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에서 유일하게 20나노 이하 공정으로 D램을 생산할 수 있는 CXMT는 미국의 제재 이후 아직 19나노 양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디지타임스는 화웨이가 비공개로 육성 중인 푸젠진화도 최근 적극적으로 국산 반도체 장비를 도입하고 있지만, 과거에 25나노 D램까지만 양산했기 때문에 여전히 화웨이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규격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