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5 패널 공급전에서 기술력으로 압승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15 패널 초기 물량의 4분의 3가량을 삼성디스플레이가 싹쓸이할 전망이다. 아이폰15가 공개된 이후에도 BOE는 여전히 애플의 품질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써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BOE를 제치고 아이폰15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대부분을 도맡아 공급하게 됐다.
13일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올해 아이폰15의 예상 출하량은 약 1억~1억1500만대로 집계됐다. 이 중 삼성디스플레이가 담당하는 패널은 전체의 70~75%로 압도적 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의 윤대정 수석연구원은 “이번 아이폰15 시리즈에서 삼성디스플레이 패널 공급 물량은 7000만대, LG디스플레이는 2500만대쯤으로 예상된다”며 “반면 BOE 물량은 500만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스톤파트너스의 배훈 대표도 “아이폰15 패널 물량 비중은 BOE가 추후 애플 승인을 받는다는 전제 하에 삼성디스플레이 75%, LG디스플레이 24%, BOE 1% 수준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BOE는 당초 아이폰15 일반 모델 2종(아이폰15·아이폰15 플러스)에 OLED 패널을 공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BOE는 홀 디스플레이 가공 과정에서 빛이 새는 문제와 수율(투입량 대비 정상품 생산 비율) 문제 등으로 패널 양산에 어려움을 겪고 올해 초부터 삼성디스플레이에 초도 물량을 넘겨줬다. 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멍을 뚫어 카메라 모듈 렌즈와 페이스ID(안면인식) 등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14 상위 모델에 홀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다이내믹 아일랜드’ 기능을 선보였고, 아이폰15 시리즈에는 전체 모델에 이를 도입했다.
현재 BOE는 패널 불량률 최소화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애플의 품질 승인 과정을 밟고 있다. 다만 업계는 BOE가 기본 모델을 제외한 아이폰15 플러스용 패널 공급에 실패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이폰15와 15 플러스 패널의 크기가 다른데, 패널 크기가 커지면 구멍도 커져 BOE 공정상 불량률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BOE가 애플 승인을 받더라도 올해 아이폰15 패널 공급 물량은 300만~500만대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일반 모델 2종을 비롯해 상위 모델 2종(프로·프로맥스) 등 전체 모델에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4년 전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 S10부터 화면 가운데 카메라 구멍이 있는 펀치홀 디스플레이를 공급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도 과거 ‘빛샘’ 문제를 겪었지만 이를 잘 해결해 왔다”며 “쉽게 말해 삼성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홀 주변을 3차원으로 커버하고 있는 반면, BOE와 LG디스플레이는 평면, 즉 2차원으로 막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도 빛샘 현상과 수율 문제를 겪고 있으나, 빛샘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성공해 아이폰15 상위 모델 2종에 패널을 공급한다.
업계 관계자는 “BOE는 올 10월까지 최대한 애플의 승인을 받겠다는 입장”이라며 “가격 협상과 리스크 헤지(위험 분산) 차원에서 단독 공급사를 극도로 선호하지 않는 애플은 BOE가 기술 문제를 해결해 패널 공급 일부를 담당하길 바라고 있지만, 현재로선 BOE가 단기간에 기술력을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패널 양산에 큰 문제를 보이지 않고 있어 앞으로 삼성디스플레이의 패널 공급 물량이 얼마나 더 늘어날지는 아이폰 수요에 달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