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 경기 둔화에 따른 ICT 수요 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5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은 144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역대 5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 동월(202억달러) 대비 28.5% 줄었다.
반도체 수출 하락세가 계속됐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78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35.7% 줄었다.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출하 감소에 단가 하락이 더해지면서 10개월 연속 줄었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53.1% 감소한 36억4000만달러에 그쳤다. 11개월 연속 하락이다.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전년 대비 4.9% 줄어든 36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5개월 만에 한 자릿수 감소로 감소 폭이 둔화됐지만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디스플레이(-12%), 휴대폰(-17.2%), 컴퓨터·주변기기(-53.1%), 통신장비(-11.1%) 수출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2% 감소한 16억달러로 집계됐다. 액정표시장치(LCD)는 국내 생산 중단으로 31.8% 줄어든 3억3000만달러 수출에 그쳤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베트남으로 가는 수출이 늘어나면서 6.6% 늘어난 10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휴대폰은 글로벌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완제품(3억2000만달러, -24.2%) 감소와 부품 수요 둔화로 부분품(6억달러, -12.9%) 감소세가 지속됐다. 컴퓨터·주변기기의 경우 8억3000만달러로 감소 폭이 컸다. 전자기기,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SSD) 수출이 62.3% 급감하면서 5억3000만달러 수출에 그쳤다. 통신장비는 인도 등 5G(5세대 이동통신) 인프라가 늘어나는 지역에 대한 수출은 늘었지만. 국제 경기 둔화로 전체 통신장비는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수출액이 63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1.6% 폭락했다. 수요 감소, 생산 둔화가 지속되면서 반도체(41억9000만달러, -33.9%), 디스플레이(4억8000만달러, -39.6%), 휴대폰(4억1000만달러, -15.0%) 등 주요 품목이 동시에 줄었다.
베트남,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지역 ICT 수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베트남 23억5000만달러, 미국 17억7000만달러, EU 9억달러, 일본 3억7000만 달러로 각각 14.6%, 36%, 30.7%, 10.9% 하락했다.
한편 지난달 ICT 수입은 112억달러로 수요 회복 지연에 따른 주요 부품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26억1000달러) 대비 11.2%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32억5000만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