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과 연결해 단거리 이동에 활용되는 전동킥보드 업계가 투자와 인수합병(M&A)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택시 규제와 달리 정부가 전동킥보드 사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안전사고와 무분별한 방치 등 관리 부실에 대한 민원은 풀어야 할 숙제다.
21일 모빌리티 업계에 따르면 전동킥보드가 신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지난해부터 대기업의 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킥고잉을 운영하는 울룰로는 지난달 현대차 등에서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지바이크(지쿠터)는 지난 6일 현대자동차·기아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기도 했다. 지바이크의 경우 현대차·기아가 운영하는 전동킥보드 사업 제트를 인수했는데 거꾸로 이들 업체의 투자를 다시 유치한 것이다.
스윙은 올해 초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고, 피유엠피(씽씽)이 지난해 받은 투자만 100억원에 달한다. 이 밖에도 매스아시아(알파카)와 디어가 각각 롯데벤처스, 현대해상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기도 했다.
전동킥보드 업체들은 기업 가치도 빠르게 뛰고 있다. 최근 3년간 2000억원이 전동킥보드 업체에 몰리면서 킥보드 업체의 가치는 평균 2~3배 뛰었다. 버스나 지하철로 이동하기 불편하고 걷기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데 전동킥보드가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사용자 계정 수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동킥보드 관련 정부의 규제 완화도 사업 확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6일 제23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에서 전동킥보드의 길거리 무선 충전소 설치를 시범적으로 허용했다. 정해진 장소에 무선 충전소를 설치하도록 허가해 킥보드 방치와 충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전동킥보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사업 확장을 막는 걸림돌이다. 단거리 이동에 편리한 ‘시민의 발’로 떠오르고 있지만 잇따른 안전사고와 무분별한 방치 등이 문제가 되면서 ‘도로의 민폐’라는 인식도 함께 확산되고 있어서다. 실제 서울시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관련 민원은 지난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3076건 접수됐다. 이 가운데 89%에 해당하는 2731건이 무단방치와 견인 등의 문제다.
전동킥보드 업체들은 사업 확장을 위해 서비스 개선에 사활을 걸었다. 순찰대를 꾸려 불법 주차된 킥보드를 주차구역으로 옮기고, 널브러진 킥보드를 정리하고 식이다. 동시에 순찰대를 시니어층을 구성하는 일자리 연계 사업도 진행 중이다. 킥보드 정리와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해결할 수 있는 공존 및 상생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사업 확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도 있다. 해외 진출과 전기자전거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신사업을 통해 전동킥보드 사업의 불확실성을 넘어서겠다는 전략이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노하우를 살려 화물과 차주를 연결하는 화물 중개 솔루션을 육성하는 경우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지는 만큼 사업 확장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라며 “업체들이 서비스 개선에 집중하고 사업 영역을 넓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