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S 임무 수행 상상도. /항우연 제공

정부가 내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이른바 KPS 개발에 들어간다. 2035년까지 14년 동안 한국 우주개발 사상 최대 규모인 총 3조72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15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21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KPS 개발 사업 추진 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KPS는 인공위성 8기를 쏘아 올려 한반도 주변의 위치 정보를 센티미터(㎝)급 해상도로 정밀하게 파악하고 교통·통신 등 국가 인프라 운영을 지원하게 된다.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등 4차산업혁명을 위한 핵심 인프라이고 재난 대응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KPS개발사업본부’를 설치해 KPS 개발을 총괄한다. ‘국가통합항법체계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해 개발 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도 병행한다.

이날 국가우주위원회는 위원장을 과기부 장관에서 국무총리로 격상하는 내용의 ‘국가우주위원회 운영 계획’, 내년부터 2031년까지 공공 목적의 인공위성 170여기를 개발하고 국내 발사체(로켓)로 40여회 발사하며 민간 기업의 발사체 사업 참여를 늘리는 ‘우주산업 육성 추진 전략’도 함께 의결했다.

김 총리는 “우리나라는 민관이 합심해 세계 10위권의 경제성장을 이룬 저력이 있는 만큼, 아직 초기인 우주산업도 이런 경험과 역량을 토대로 우주강국에 진입할 것으로 확신한다”라며 “관계부처도 소관 분야에서 더욱 매진해줄 것을 당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