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인재와 차세대 AI 연구인력 육성을 위해서는 기업과 학계가 인재 양성을 위한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영주 포항공과대학(포스텍) AI 대학원장은 1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글로벌 AI 컨퍼런스 ‘AWC 2021 in 부산’에서 “고급 AI 인재는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지표다”라며 “정부가 나서 부족한 석박사급 고급 AI 인재 양성을 위한 아낌없는 지원에 나서야 한다”라고 했다.
올해 AWC 2021 in 부산은 ‘AI for SDGs(SDGs를 위한 AI·SDGs는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약어)’ 와 ‘AI for SmartCity(스마트시티를 위한 AI)’를 주제로 AI의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 방향성을 살펴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 원장은 ‘실용적 AI 인재 양성과 차세대 AI 연구인력 양성 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 “AI는 4차산업 기술의 핵심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AI 인력은 국내 기업에 부족한 상태다”라며 “(실무 경험이 있는) 기업 인력을 상대로 한 AI 재교육도 확대돼야 한다”라고 했다.
장병탁 서울대학교 AI 연구원장은 “다양한 기업들이 실무에 바로 적용해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AI 인재 양성을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라며 “하지만 인재를 육성하는 학교의 교육 방식과 기업의 활용 방안에 차이가 있는 게 사실이다”라고 했다. 이어 장 원장은 “공동 연구센터 개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업 임직원 강의, 학생들의 인턴 활동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기업과 학교가 교류를 확대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접점을 늘려야 한다”라고 했다.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AI 대학원장은 “AI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AI에 관심을 갖게 하는 다양한 환경이 먼저 마련, 인프라가 확대돼야 한다”라며 “기업과 학교가 AI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개방형 협업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다양한 인력들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했다.
노삼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AI 대학원장은 “현재 활용되는 대부분의 AI 기술은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AI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와 슈퍼컴퓨팅 시스템은 신경쓰지 않는 모습이다”라며 “시스템 소프트웨어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