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쏘아 올린 한국과학기술원(KAIST) 큐브위성(초소형 위성)이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이는 누리호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두 번째로 분리된 꼬마 위성이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카이스트(KAIST)에 따르면 KAIST 지상국과 큐브위성 ‘랑데브’(RANDEV) 간 실시한 양방향 교신 이날 오후 4시 10분 성공했다.
전날 오전 2시와 오후 2시 40분 KAIST 지상국은 전력공급 채널의 상태 변경, 시스템 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안테나 전개 모드로 변경할 것 등을 위성에 명령했는데 이날 오후 4시 10분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것을 확인했다.
큐브 위성은 기본 단위가 가로·세로·높이가 각 10㎝이다. 누리호에 실린 큐브 위성들은 정육면체인 기본 단위를 3~6개 연결한 막대 형태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진(항공우주공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연구실)이 개발한 랑데브는 기본 단위를 3개 붙인 형태로 무게가 3.2kg이다. 태양전지판을 모두 펼쳐도 A3 용지보다 크기가 작다.
랑데브의 주요 임무는 소형 지구관측 카메라로 지상을 촬영하고, S밴드로 촬영한 영상을 지상국으로 고속 전송하는 것이다. 랑데브는 여러 파장대의 빛을 동시에 촬영하는 초분광 카메라로 농작물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 위성영상으로 지상의 물체가 무엇인지 예측할 수 있고, 지면에 보이지 않아도 땅속에 어떤 광물이 있는지, 농작물이 얼마나 상했는지 알 수 있다는 게 KAIST 측 설명이다. UHF/VHF 주파수를 활용하면 이 위성이 지구를 바라보지 않아도(무지향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연구진은 당분간 큐브위성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성 본체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위성체가 안정화한 이후 탑재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 촬영, 지상국 전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앞서 랑데브는 1일 오후 4시 38분 성능검증 위성에서 분리됐고, 전날 오전 3시 42분 대전 KAIST 지상국에서 랑데브의 첫 비콘신호를 받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