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25일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에서 한 시민이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최근 일부 국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를 통해 코로나19 항체양성률이 약 95% 수준임을 확인했으나, 이를 집단면역 형성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상 새로운 변이가 계속 등장해 언제든 돌파감염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병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백신효능평가팀장은 이날 오전 백브리핑에서 “특정 병원체에 대해 집단의 60~70%가 특이적 항체를 형성하면 집단 내 감염이 차단된다”며 “그러나 코로나19처럼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를 거듭하면 집단 구성원 90% 이상이 항체를 형성했어도 변이 전파를 차단하지 못해 집단면역이 형성됐다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600여명을 대상으로 항체양성률을 조사했다. 이중 94.9%가 백신 접종, 감염에 따른 자연면역 등으로 몸 안에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팀장은 “항체양성자의 항체값 수치가 낮게는 8, 높게는 5000 이상 등으로 다양했는데, 항체값이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바이러스 방어 효과가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며 “여기에 시간 경과에 따라 항체가 사라지는 경향도 있기에 단순히 항체양성률만 갖고 집단면역, 방역대책 수준을 논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