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코로나19가 재유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과학 방역 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감염병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전문 인력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26일 충북 청주시 오송 질병청 긴급상황센터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을 포함한 코로나19 관련 감염병 위기 대응 상황을 보고했다.
질병청은 올 하반기 슈퍼컴퓨터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로부터 도입해, 방역 관련 빅데이터 분석·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감염병 예측 모형 전문 인력 확보에도 총력을 쏟을 방침이다.
기존에는 수리 모형으로 감염병 유행을 예측했는데, 슈퍼컴퓨터를 도입하면 AI를 기반으로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질병청은 또 KIST, 대한수학회 등과 협력해 전국민 규모 모델링, 사회·환경 변수 반영, 정책효과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해 과학 방역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또 과학방역을 위해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체계,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 코로나19 후유증 조사 등 새로운 형태의 정보 수집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기관별 방역관련 데이터를 연계하고 이를 민간에 공유하는 빅데이터 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데이터 공유 체계 마련을 위해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2만 5000명분의 의료정보, 전장유전체 데이터를 확보해 이를 공유개방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 등은 2024년부터 중증난치질환, 암, 만성질환 등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1조 원 규모 예비타당성조사를 계획 중이다.
정부는 지금까지 바이오헬스 산업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바이오뱅크)의 인체자원을 활용하도록 해 왔는데, 여기에 임상정보, 전장유전체 분석정보 등 바이오 빅데이터를 결합해 ‘제2의 바이오 뱅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환자 개인별 맞춤형 질병 예방·진단·치료 기술 개발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주요국들도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밀의료 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바이오뱅크의 글로벌 경쟁력은 제한된 시간에 최대한의 자원을 확보하는 능력에서 온다”며 “대용량 자원처리를 자동화해 고속처리할 수 있는 제2의 바이오뱅크 증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바이오뱅크 증축 예산으로 184억원을 책정하고, 내년에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기구도 신설한다. 자문기구는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자문기구가 내놓은 정책 제언은 방역정책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보고되며, 중대본은 소관 부처와 검토·조율 후 정책을 최종·심의한다. 전문가 제언 내용과 부처 검토 결과는 홈페이지 등으로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