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단 방역 수칙 해제로 일상 회복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올 가을 국내에 새로운 코로나19 변이가 출현하면, 하루 확진자가 62만 명을 기록한 지난 3월보다 더 큰 유행을 겪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14일 의료계에서 나왔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경상북도 경주에서 열린 2022 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올해 국내 코로나 유행 시나리오를 그래프를 제시하며 “최악의 경우, 새로운 변이가 나오면 확진자가 다시 급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백신 면역은 4~6개월만 지나면 감염 방어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변이가 없어도) 10~11월에 (4차) 부스터샷을 접종해야 한다”며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김 교수의 말은 4차 접종을 한다고 해도 새 변이가 생기면 속수무책이라는 뜻이다.
김 교수는 이어 남아공의 유전체 분석 전문가인 툴리오 데 올리베이라 교수가 트위터에 오미크론 하위 변이 2종(BA.4, BA.5)이 남아공, 보츠와나 등에 검출됐다고 올린 것을 언급한 후 “한국도 오미크론이 2~3월 크게 유행했기 때문에 변이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일상으로 가자고 말하지만 칼자루는 결국 바이러스가 쥐고 있다”며 “코로나19 이후에 이상한 바이러스가 괴질로 출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스와 신종플루가 괴질에서 출발한 만큼 변이는 계속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코로나 후유증(롱코비드)에 대한 우려도 전했다. 김 교수는 “롱코비드는 있지만, 롱독감이라는 것은 없다”며 “지난 2~3월 생긴 1500만명 확진자 가운데 300만 명(20%)은 6~7월에 롱코비드를 겪는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정부의 오미크론 방역 정책에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메르스 때 정립한 방역체계로 2021년까지 2년 동안은 버텼는데, 올들어 다 털어먹었다”며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2/3가 올해 2월 이후에 생겼다. 지난 2월 오미크론 대응 방역으로 (K-방역이) 일거에 무너졌다”고 말했다.
그는 “(현 정부 정책 결정 과정의 가장 큰 문제는) 과학을 기반으로 하지 않았다는 것, 위기관리 소통(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일관성이 없었다는 것”이라며 “거리두기 기준도 그 때마다 달랐다”라고 했다.
이어 “국가 재난 위기 상태인데, 거버넌스의 리더십이 안보였고, 매뉴얼도 마스터플랜도 없었다”며 “일상회복위원회에는 일반 국민 대표는 없었고, 감염병전문가는 극소수였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를 겪으면서 의료시스템이 붕괴됐는데, 이런 시스템을 재건하자는 말은 없고, 일상 회복 얘기만 나온다”라고 했다. 김 교수는 다만 “중국 상하이의 ‘제로코비드’ 정책이 최근 뚫린 것을 보면, 한국의 ‘오미크론 대응 체계도) 방향성은 맞는 것 간다”며 “다만 준비 없이 질서 있게 방역을 완화하지 않은 것은 문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