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등산을 즐기는 장모씨(67세). 엉치뼈 주변이 아프고 다리가 저려 제대로 걷지 못하는 증상이 계속돼 병원을 찾았다. 장씨는 발병 초기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해 스트레칭을 하고 마사지를 받았지만, 상태는 계속 악화됐다. 주변에서 ‘디스크(추간판탈출증)’가 의심된다고 해 병원을 찾은 장씨는 ‘척추관협착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문제가 생기는 병이다. ‘디스크’라고 부르는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삐져나와 주위 신경을 자극해 아픈 병이다. 장씨는 척추 4번과 5번 뼈가 서로 가까이 붙으면서 신경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고 있었다고 한다.
나이가 들어 뼈와 관절이 굳고, 약해지면서 이런 척추 질환이 발생한다. 척추 질환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병으로 꼽힌다.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몸이 아프다 보니 삶이 고달파진다.
시중에는 ‘봉침을 맞으면 좋다더라’ ‘근육 강화 주사라는 걸 맞으면 낫는다더라’는 식의 속설이 난무한다. 한림대 성심병원 척추센터의 오재근 센터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이런 속설에 대해 “근육 강화 운동이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근육 강화 주사라는 것은 아무런 의학적 근거가 없다”고 했다. 근육은 운동을 통해 단련하는 것이지 주사를 맞는다고 강해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 센터장은 “수술이 정답은 아니지만, 요즘에는 수술로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도 잘못된 정보로 수술을 기피하다가 적절한 시기를 놓쳐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척추 질환은 통증을 줄여주는 등 보존(保存⋅방어) 치료와 수술을 병행하는데, 최근엔 수술 없이 치료해 달라고 요구하다가 적절한 수술 치료 기회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오 센터장은 연세대 의대를 졸업해 세브란스병원에서 신경외과 전임의까지 취득한 후 미국 컬럼비아대 정형외과에서 연수를 받았다. 척추질환은 신경을 다루는 신경외과와 뼈와 관절을 다루는 정형외과가 함께 보는데, 오 센터장은 두 과에서 공부할 기회를 가졌다.
오 센터장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를 묻자 지난해 연말 요추(허리 등뼈) 골절로 응급실에 이송된 중학교 1학년(만 13세) 여학생을 꼽았다. 3층 난간에서 추락한 이 학생은 부러진 척추 뼈가 신경을 압박해 두 다리가 마비된 상태였다.
응급 수술로 척추관을 감압(減壓)해 신경을 살리고 나사로 척추뼈를 이어 붙였다. 오 센터장은 “완치가 어려울 것으로 봤는데 수술 6개월 만에 (그 학생이) 진료실로 걸어 들어왔다”며 “신경이 회복돼 대소변도 문제가 없는 것을 보고 울컥했다”고 했다. 오 센터장은 비슷한 또래의 자녀를 뒀다.
이 학생의 척추뼈를 고정하는데 0.65㎝짜리 나사가 사용됐다. 척추 뼈를 고정하는 데 0.35~0.85㎝의 나사를 사용하는데, 목뼈에는 새끼 손톱보다 작은 0.35㎝짜리 나사를 쓴다. 목에는 척추 신경은 물론 뇌혈관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오 센터장은 “신경과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척추를 고정시키려면 오랜 경험을 통해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지난 27일 오후 경기 안양시 평촌에서 오 센터장을 만났다. 진료실 앞 소파는 기다리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오 센터장에게 센터 입구 의료진 소개와 함께 적힌 ‘보행을 위한 토탈케어’의 의미에 대해 묻자 “아픈 사람이 통증 없이 편안하게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돕는 것이 목표라는 뜻”이라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一 최근 국내에서 디스크(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고령사회로 노인층 인구가 많아지다 보니 퇴행성 질환인 추간판탈출증, 협착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이 실내 생활을 많이 하면서 운동 부족 문제와, 특히 구부정하게 스마트폰 등을 많이 보는 자세를 하는 등의 이유로 척추의 불균형이 오면서 이로 인한 디스크 등의 질환도 이전에 비해서 많이 발생한다.”
一 최근 척추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호소하는 부위는 주로 어떤 곳이 있나.
“척추 질환은 흔히 경추(목뼈), 요추(엉덩이뼈) 등 병이 나타나는 부위에 따라 환자 증상이 다르다. 경추에 문제가 있으면 목 통증, 어깨 통증, 팔 저림, 상체에 힘이 없어지는 등의 증세를 보이고, 요추(엉덩이뼈)는 요통, 다리 통증, 다리 저림, 아랫도리(하지)에 힘이 떨어진다.”
一 보통의 사람들은 허리 통증을 디스크나 척추 질환으로 생각지 않고, 근육이 유연하지 않거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허리 통증과 디스크를 나누는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
“요통의 경우 디스크보다 일반적인 근육통인 경우가 훨씬 많다. 디스크나 척추 질환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요통 외에 다리 쪽의 감각 이상, 저림, 통증, 위약감(힘 빠짐) 또는 대소변 장애, 성기능 관련 이상을 보일 때다. 이런 경우는 무언가가 척추 신경을 압박해서 생기는 증상일 가능성이 높으니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一 디스크의 초기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 다리가 저린데, 목이나 허리가 문제였다는 환자들도 많다.
“대부분 초기 증상은 통증이다. 목이 아프다, 허리가 아프다. 이런 식으로 시작되고 병이 진행되면 감각의 이상, 통증, 운동 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一 디스크가 아닌데도 허리나 척추 쪽이 아픈 병이 있는지 궁금하다. 허리 통증이 다른 질병의 주된 증상일 수도 있나.
“디스크가 아닌데도 허리, 목이 아픈 경우는 많다. 허리나 목 통증은 일반적인 근육통의 경우가 훨씬 많다. 엉치뼈가 아픈 것도 엉덩이 근육통의 일종일 수 있다. 엉덩이 근육이 수축해 주변 신경을 압박하는 식이다.”
一 그렇다면 디스크인지 아닌 지 MRI를 찍어서 확인해야 하나.
“증상으로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지만 확진을 하려면 MRI 검사가 필요하다.”
一 척추 질환 치료법은 수술밖에 없을까. 약물이나 운동요법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가.
“대부분의 디스크는 수술이 아닌 보존치료를 통해서 상태가 좋아질 수 있다. 디스크가 통증을 일으키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신경관이 좁아져서 물리적인 압박이 있는 것이고, 또 하나는 신경이 자극되면서 주변에 염증이 생겨 눌리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 있다.
우리가 복용하는 진통 소염제나 신경 주사 치료는 염증을 줄이는 치료다. 우리 몸에는 면역이 있기 때문에 진통 소염제만으로도 충분히 증상이 나아지는 경우도 많다. 신경주사나 통증클리닉 모두 염증을 낫게 하는 치료를 한다. 염증을 조절해서 통증이 누그러지는 사람은 수술까지 할 필요가 없다.그러니 충분히 보존치료를 한 다음에 통증이 계속되면 수술을 고민하게 된다.”
一 그렇다면 수술을 고민해야 할 시기는 언제인가.
“환자들마다 다르지만, 진통 소염제 등 보존 치료를 일정 기간 받아본 다음에 수술을 계획하는 것이 맞다. 환자들 중에서 진통제를 처방하면 항의하는 경우도 있는데, 단순 통증만 있는 경우 2개월 정도는 수술 외적인 치료를 충분히 해 보고 그 다음에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신체 일부가 마비되거나, 환자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거나, 척수증 등의 증세가 있으면 신속하게 수술을 해야 한다. (척수증이란) 목 쪽 신경이 심하게 눌리는 경우에는 균형 감각이 떨어져 단추를 제대로 잠그지 못한다거나 글씨를 제대로 쓰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 경우 빠른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一 하지만 ‘디스크는 수술을 하지 않는 편이 낫다’ ‘디스크 수술에 예후가 좋은 경우를 보지 못했다’는 ‘구전’도 있다. 그 이유는 뭐라고 보나.
“디스크 수술에 대한 결과는 이미 여러 편의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고 이런 치료는 논쟁이 필요 없는 의학적 근거가 있다. 수술을 신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 수술 외 치료를 통해서도 나아질 기회가 있으니, 충분히 수술 이외의 치료를 해 보라는 취지다.
하지만 그래도 안 되면 수술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요즘은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통해서 훨씬 더 삶의 질을 올릴 수 있는 환자가 ‘수술은 무조건 나쁘다’라고 생각해서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높은 비용의 비수술 치료로 많은 돈을 지출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척추 질환의 경우 결국에 해부학적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통증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
一 요즘 척추를 강하게 해주는 침,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침술이라는 홍보 문구도 보게 된다. 수술이 아닌 연골 강화 등과 관련한 주사제 치료법 등 최신 연구가 최근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근육을 강하게 하는 주사, 침은 의학적인 근거가 없다. 근육은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단련하는 것이지 주사를 맞는다고 강해지지 않는다.”
一 최근 수술한 환자 중에서 기억에 남는 환자가 있나.
“중학교 1학년 올해 13살 여학생이 3층 높이 난간에서 떨어져 응급실로 온 사례가 있다. 허리 요추가 골절됐고, 그 골절된 뼈가 척추 신경을 압박해 두 다리가 마비된 상태였다. 응급실에서 오자마자 곧바로 수술을 했다. 요추 뼈가 신경을 누른 것을 감압하고, 그 뼈를 고정하는 수술을 했다.
응급 수술은 했지만, 수술 당시에는 완치가 힘들 것이라고 봤다. 그런데 이 환자가 얼마 전 멀쩡하게 걸어서 진료를 받으러 왔다. 신경이 회복돼 보행도 잘 하고, 대소변도 잘 조절하고 모든 기능이 회복됐다. 그 나이 또래에 딸을 두고 있는데, 그렇게 회복된 모습을 보니 보람을 느꼈다.“
一 척추뼈를 고정하는 데 어떤 장비가 쓰이나.
“(중 3 여학생 척추 수술 때) 6.5㎜(0.65㎝)짜리 나사를 사용했다. 척추 뼈를 고정하는 데 3.5~8.5㎜의 나사를 사용하는데, 목뼈에는 3.5㎜짜리 나사를 쓴다. 목에는 척추 신경과 뇌혈관이 다 지나가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다 피해서 나사를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니 이런 (척추) 수술을 하려면 아무래도 오랜 경험이 필요하다. 신경과 혈관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술하려면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말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0.1㎜만 잘못 나사가 들어가도 환자가 잘못될 수도 있다는 긴장과 위험 속에서 늘 수술을 한다. 수술을 할 때도 환자들에게 이런 것을 감추지 않고 이야기한다.”
一 최근 30~40대를 중심으로 목디스크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고 들었다. ‘목디스크’는 얼마나 위험한가.
“실내에서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을 오래 보는 자세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30~40대 직장인들이 목디스크가 올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인 목통증, 팔통증이 아닌 균형감각 장애, 손동작의 이상함이 있다면 전문의 상담을 반드시 받길 권한다. 단순 목디스크가 아니라 전신 마비까지 이를 수 있는 척수증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一 이른바 ‘거북목’이 목 디스크로 발전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가.
“사실 ‘거북목’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웃음) 구글로 거북과 관련된 영어 단어 등을 검색해도 나오는 게 없다. 관련 의학적 연구도 아직 많이 없다. 그러나 목뼈의 곡선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휘어지면 통증을 유발 할 수 있고 목 디스크로도 진행될 수 있다는 예상은 가능하다.”
一 수술이나 주사치료를 제외하고 운동이나 생활습관 속에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평상시에 올바른 자세를 하고, 적절한 운동, 스트레칭 등으로 척추 주변의 근육을 강화 시킬 수 있다. 척추 주변의 근육이 튼튼해지면 척추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一 디스크를 포함한 척추 질환은 완치가 가능한가.
“완치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 디스크로 대표되는 척추 질환은 퇴행성 질환이다. 이미 퇴행된 디스크를 다시 젊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치료를 할 때 완치라는 표현보다 관리하면서 통증 조절을 하고 통증이 잦아들면 운동 등을 통해서 주변 근육을 튼튼히 만들어 통증 없이 지내는 것이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