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국기. /AP 연합뉴스

중국이 지난 20년 간 인공지능(AI) 연구 분야에서 선두 자리를 지켜온 미국을 처음으로 앞질렀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미 스탠퍼드대학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논문 인용 수와 연구 인력 등 AI 연구의 양과 질 모두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AI 논문 인용 점유율은 전체의 20.7%에 달해 19.8%를 기록한 미국을 웃돌았다. 중국이 AI 연구를 시작했던 2000년 당시 미국은 전세계 논문 인용 비율의 40%를 차지했었다. 2017년까지만 해도 미국의 논문 인용 점유율(30%)은 중국(15%)의 두 배였지만 불과 3년 만에 상황이 역전됐다.

논문 수에서도 중국은 미국을 압도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에 따르면 2012년 이후 발표된 AI 관련 논문 수는 중국이 24만 건으로, 미국(15만 건)을 압도했다. 3위인 인도는 약 7만 건으로, 미국과 인도의 AI 논문 수를 합쳐도 중국 논문 수를 따라잡지 못했다. 한국은 논문 수와 연구 인력 모두 10위권에 오르지 못했다. 일본은 논문 수에서는 6위(3.5만 건)에 올랐으나 연구 인력에서는 순위에 없었다.

연구 인력도 중국이 미국을 앞선다. AI 관련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회인 ‘인공신경망학회(NeurIPS)’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세계 AI 연구 인력 가운데 중국 출신 비율은 29%로, 미국 출신(20%)을 크게 앞섰다. 이어 유럽(18%), 인도(8%), 캐나다(5%), 영국(4%), 이란(3%), 이스라엘(3%) 등의 순이었다.

닛케이는 중국 명문대학인 칭화대와 상하이자오퉁대, 저장대, 하얼빈공대 등에서 논문 발표 실적이 있는 AI 인력이 2000명 이상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미중 갈등 심화로 미국에서 활동하던 중국계 연구원의 귀향도 늘어 향후 중국의 AI인력이 크게 확충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한편 미국의 데이터 이노베이션 센터(Center for Data Innovation)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데이터 영역의 능력도 중국이 미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수백억 달러 수준의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며 전폭적으로 이 분야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월 “현 상태로는 중국에 AI 주도권을 빼앗길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구체적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