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010130)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를 국산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국체는 중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국산 전구체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기업의 공급망 자립을 돕는다는 목표다.

지난달 24일 울산 울주군 온산제련소 근처에 있는 한국전구체(KPC) 공장. 모든 라인은 올해 초 본격 상업 생산을 위한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였다. 한국전구체는 고려아연과 LG화학(051910)의 합작사로 작년 3월부터 가동을 시작해 시제품 생산, 고객사 품질 검증 절차 등을 거쳐왔다.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한국전구체(KPC) 공장 내부. /권유정 기자

허균 한국전구체 대표는 “설비 캐파(CAPA·생산능력)는 연간 2만톤(t)인데 2025년 생산량은 1만7000t 정도로 예상한다. 첫 양산인 만큼 상반기에는 캐파를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하반기부터 풀 캐파(최대 생산)로 가동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곳에서 생산하는 전구체는 니켈 함량이 다른 네 종류다. 이 중 고객사 요청이 가장 많고, 회사가 집중하는 분야는 하이니켈 전구체다. 하이니켈 전구체는 전구체의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국내 이차전지 업계에서 고급 배터리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고려아연이 보유한 하이니켈 전구체 제조 기술은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됐다.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해외에 매각할 때 정부 승인이 필요하다. 전구체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국내 수요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정부가 기술의 중요성을 인정한 것이다.

고려아연은 한국전구체 공장 시험 가동 및 시제품 생산 과정에서 세계 최대 용량의 반응기를 사용하는 등 생산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설비도 적용했다. 전구체는 반응기에서 이틀 정도 결정화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반응기 용량을 중국보다 3배 이상 키운 덕분에 생산성이 그만큼 높아졌다.

허 대표는 “전구체는 완제품이 아닌 중간재라서 완제품을 만드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것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중국을 앞서기 위해서는 기술 및 설비 투자를 통해 수율(전체 제품 중 양품 비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