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46파이(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다. 이들 업체에 각종 소재를 납품하는 업체들도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소품종 대량생산으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어 테슬라를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8월부터 오창 공장에서 이른바 ‘테슬라 규격’으로 불리는 4680(지름 46㎜·높이 80㎜)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다. 4680 배터리를 직접 제작하는 테슬라를 제외하면 글로벌 주요 배터리 제조사 중 양산 시기가 가장 빠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배터리. /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오창 공장 원통형 생산 라인의 초기 생산 능력은 연간 9기가와트시(GWh) 수준으로, 전기차 약 11만대에 들어갈 수 있는 규모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애리조나주에도 36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의 4680 원통형 배터리 고객사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으나, 업계는 테슬라 등에 공급할 것으로 본다. 테슬라는 자사 생산 공장인 기가팩토리에서 4680 원통형 배터리를 직접 만들고 있으나 수율(정상품 비율)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희수 LS증권 연구원은 “테슬라는 이달 8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4680 배터리를 누적 5000만개 생산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하루에 약 12만개의 셀을 생산하는 수준으로 여전히 수율이 20%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에 대한 의존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SDI(006400)도 연내 46파이(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양산 준비를 마칠 예정이다. 현재 다수의 완성차 업체와 제품 규격 등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SK온도 기존 주력 제품인 파우치형 배터리뿐만 아니라 각형, 원통형 배터리를 모두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동원시스템즈가 생산하는 다양한 규격의 2차전지 원통형 캔(CAN) 부품. /동원시스템즈 홈페이지 캡처

국내 배터리사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이 임박하면서 관련 소재를 생산하는 업체들도 수혜가 예상된다. 원통형 배터리 캔(CAN)을 생산하는 동원시스템즈(014820)는 8월부터 LG에너지솔루션에 납품을 시작할 전망이다. 동원시스템즈는 2021년 원통형 배터리 캔 제조사인 엠케이씨(MKC)를 150억원에 인수했고, 2022년 700억원을 투자해 충남 아산 배터리 캔 공장을 증설했다. 동원시스템즈는 지난해 305억원이었던 2차전지 소재 매출을 올해 700억원, 내년 1000억원으로 예상한다.

TCC스틸(002710)은 작년 1105억원을 투자해 포항공장 니켈도금강판 전용 설비를 늘렸다. 이에 따라 연간 생산능력은 8만톤(t)에서 20만t으로 확대됐다. 니켈도금강판은 내식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원통형 캔의 겉면을 포장하는 데 사용된다. 4680 배터리 1개당 약 70~80g의 니켈도금강판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TCC스틸은 2009년부터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에 2170(지름 21㎜·높이 70㎜) 배터리용 니켈도금강판을 납품해 왔고, 양산을 앞둔 4680 배터리에도 납품을 준비하고 있다. LS증권에 따르면 TCC스틸의 니켈도금강판 매출 규모는 올해 2300억원에서 2025년 3400억원, 2026년 4000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냉연특수강 전문 기업인 동국산업(005160)도 지난 2022년부터 약 880억원을 투자해 연산 8만t 규모의 니켈도금강판 제조라인을 신설했다. 동국산업은 9월부터 생산을 시작해 고객사에 시제품을 공급한다. 고객사로부터 납품 허가를 받으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