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2038년까지 신규 대형원전 3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를 건설하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기로 하면서 원전,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일감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포함된 건 지난 2015년 7차 전기본에 신한울 3·4호기가 포함되고 나서 9년 만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붕괴 위기에 몰렸던 원전 업계는 일감이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다.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앞으로 15년(2024~2038년)간 국내 전력 수요 전망, 발전소 건설 및 운영 방안을 담은 실무안을 31일 발표했다.
국내 제조업계는 원전 확대로 전력 공급이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간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계에서는 적정 수준의 원전 비중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류성원 한국경제인협회 산업혁신팀장은 “한국이 (원전 없이) 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 수요를 충당하는 건 현실성이 떨어진다. 중장기적으로 탄소중립으로 간다는 방향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원전과 함께 태양광, 풍력 등을 확대하기로 한 점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원전,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일감이 늘어날 전망이다. 원전업계는 일감이 늘면 연구개발(R&D), 설비 증설, 인력 양성에도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원전 생태계 복원이 빨라지면 원전 설비 수출도 늘어날 수 있다. 문재인 정부(2017~2021년) 기간 5900억원 수준이던 원전 설비수출 규모는 지난 2년간 4조100억원으로 이미 7배 가까이 증가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SMR이 전기본에 처음 반영된 게 인상적”이라며 “SMR 개발, 실증, 투자에 나선 민간 기업 입장에선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에서 SMR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만큼 사업 기회는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중에서는 태양광, 풍력 사업이 부각될 전망이다.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2030년까지 태양광, 풍력 설비 보급 목표를 기존 65.8기가와트(GW)에서 72GW로 상향했고, 2038년 기준으로는 99.8GW에서 115.5GW로 확대하기로 했다.
계절이나 날씨 영향을 받는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 안정적인 계통 운영을 보조하는 양수발전, 배터리 기반 BESS 등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도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