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010130)영풍(000670)과 황산 처리 대행 계약을 끊는다. 영풍은 석포제련소에서 아연을 생산할 때 부산물로 나오는 황산 일부를 고려아연으로 보내 처리하고 있다. 고려아연이 영풍과의 황산 거래를 중단하면 영풍은 새로운 황산 보관 처리 대행 업체나 제3의 판매처를 찾아야 한다. 새로운 취급 대행, 판매처를 찾지 못하면 황산을 처리하지 못해 아연 생산을 줄여야 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해 6월 30일로 만료되는 영풍과의 황산 취급 대행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고려아연은 이런 내용을 담은 내용증명을 이날 오전 영풍 측에 전달했다. 다만 고려아연은 황산 거래를 바로 중단하지 않고 영풍 측이 황산 취급 방안 등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일정 유예 기간을 제시할 예정이다.

현재 고려아연 온산제련소는 20기의 황산 탱크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작년에 총 160만톤(t)의 황산을 처리했다. 이 중 40만t이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왔다.

경북 봉화군에 있는 영풍의 석포제련소./영풍 제공

황산은 아연을 제련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독성이 강한 물질이다. 고려아연은 2026년 자회사 켐코의 올인원 니켈 제련소가 본격 가동되면 연간 18만5000t 규모의 황산을 추가로 처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영풍의 황산을 계속 처리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고려아연이 황산 매입을 중단하면 영풍은 새로운 취급 대행이나 황산을 소비할 수 있는 신규 판매처를 찾거나 보관 탱크를 지어야 한다. 현재 고려아연은 황산을 그대로 판매하거나 일정 기간 보관한 뒤 처리한다.

업계에서는 석포제련소가 현재 감산을 하고 있어 당분간 황산 처리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 고려아연의 위탁 처리가 없어도 육로를 통해 석포제련소와 가까운 동해항 탱크 등에 보관할 수 있다. 지난해 7월 집중 호우로 영동선 운행이 어려워지자 영풍은 석포제련소의 황산을 기차 대신 차량으로 수송했다.

고려아연은 영풍이 황산을 처리하지 못해 아연 생산량이 줄면 수출 물량을 줄여 내수로 판매할 계획이다. 강동완 고려아연 원료구매본부 부사장은 지난 3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생산량이 급감할 경우 수출보다 내수 판매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고려아연은 최근 영풍 측과 사업 관계를 하나씩 정리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원자재·설비부품 공급망, 인력·정보 교류도 끊을 예정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기존 계약과 양사 간 지속해 온 협력관계를 고려해 영풍 측에 사전 통지했다”며 “동해항을 통해 처리하는 방식 외에 영풍이 자체적인 황산 관리시설을 마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예 기간을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