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 노선 이용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대비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일본 노선은 같은 기간 이용객이 오히려 소폭 증가하는 등 완전한 회복세를 보였다. 업계는 미·중 갈등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논란 등 부정적인 국제 정세와 비자 발급의 불편함 때문에 중국 노선 불황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국토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중국 노선을 이용한 여객(출발·도착)은 684만8108명이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이용객 1843만3760명의 37.1% 수준이다. 같은 기간 일본 노선 이용객은 1886만3541명에서 1938만2535명으로 회복률은 102%다. 전체 노선 항공 이용객 회복률이 75%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엔데믹 특수’가 일본으로 쏠렸다는 분석이다.
지난 8월 중국이 자국 관광객에 대한 한국 단체 관광 비자를 허용하면서 반대로 한국인들의 중국 방문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없었다.
지난해 9월 83만8876명이었던 중국 노선 이용객은 10월 86만7611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11월에는 73만5936명으로 줄었고 12월에는 81만명 수준으로 다시 소폭 늘었다. 다만, 그 사이 운항편수가 1000편가량 늘었음에도 9월 이용객보다는 오히려 줄었다는 것은 사실상 회복이 전혀 안 되고 있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일본 여행객은 지난해 9월 164만1390명에서 11월 189만15명으로 늘더니, 12월에는 201만9205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5월 12년 만의 한일정상회담 등 양국의 협력이 가시화되면서 코로나와 노재팬 운동으로 감소했던 이용객이 급증하게 됐다.
이러한 상황에 중국 정부도 여행객을 위한 비자 면제 및 수수료 감면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 여행객을 위해 지난해 12월 단수 비자 발급 수수료를 25% 인하했다. 비자 발급 비용을 5만5000원에서 4만6000원으로 줄었다. 또 중국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말레이시아 등 6개국에 대해 비자 면제를 시행했다. 다만, 한국은 기존처럼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
여행업계에서는 중국 노선 회복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국내 기업들이 잇따라 철수하고 점유율이 추락하는 상황에서 여행객은 물론, 기업인의 입국도 줄고 있기 때문이다. 또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함도 여행객 유입을 막고 있다. 실제 일본 여행객이 급증한 배경으로 무비자 정책이 꼽히고 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기가 부족했을 때는 일본이나 동남아 등 여객 수요가 확실한 곳에 비행기를 띄웠다”라며 “중국인 관광객이 점차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중국 본토를 찾는 한국인은 적다. 여행객 추이를 보면서 중국 공급석을 천천히 늘려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