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 영향이 3개월 안에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2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기획재정부, 외교부, 무역협회, 기계산업진흥회, 광해관리공단, 배터리협회 및 국내 배터리 3사 등 관련 관계부처와 베터리 업계 및 공급망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국무역협회는 30일 ‘중국 흑연 수출 통제의 영향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수출 통제 시행되는 12월을 전후로 일시적으로 수급에 차질이 있을 수 있지만, 3개월가량 지난 시점에는 수출 재개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무역협회는 2006년 사례를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냈다. 당시 중국이 통제를 시작한 9월, 10월 2개월간 흑연 수출이 감소했지만, 3개월 차인 11월부터는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수출 통제에 대입하면 내년 1분기 내 회복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무역협회는 “미국과 한국은 중국의 흑연 최대 수출 대상국인 만큼 중국 입장에서도 중요한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1~9월 기준 중국산 흑연 최대 수출국은 미국(13%)이고, 한국(10.3%), 폴란드(7.4%), 일본(6.7%)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향후 미·중 관계가 악화할 경우 미국에 공장을 둔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흑연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음극재 핵심 소재다. 올해 1~9월 한국의 천연 흑연 제품 중국 수입 의존도는 97.7%, 인조 흑연은 94.3%다.

무역협회는 “이번 중국의 수출 통제는 미국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해석되는 만큼 미국에 공장을 둔 한국 배터리 기업으로의 수출 허가 지연 또는 반려 가능성이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모잠비크·브라질·일본 등으로 흑연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개발해 공급망 리스크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