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장기화에 따른 우울감, 상실감 등을 겪는 소위 ‘코로나 블루’가 확산하며 멘탈 헬스케어(정신 건강 관리)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6월 발표한 ‘세계 정신 건강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우울증 환자는 2020년 2억4600만 명으로 팬데믹 발생 이전인 2019년보다 28% 늘었고, 같은 기간 불안 장애 환자도 3억7400만 명으로 26% 증가했다. 과거 정신 질환은 사회적 시선 탓에 대면 상담이나 치료를 꺼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코로나19 기간 비대면 서비스 사용이 일상화하고, 관련 기술이 발전한 가운데 멘탈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사용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신 건강 관리는 더 이상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WHO와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우울증 같은 정신 건강 문제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연간 손실은 약 1조달러(약 1270조원)로 추정된다. 최신 기술로 무장한 멘탈 헬스케어 기업들은 이런 문제의 중요한 해결사로 주목받고 있다. 이코노미조선이 멘탈 헬스케어 테크 기업의 현주소와 발전 가능성을 조망해봤다. [편집자주]

김규태 아토머스 대표. UCLA 국제학과. /아토머스

“다양한 산업군별 맞춤형 멘탈 헬스케어(정신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비대면 멘탈 헬스케어 플랫폼 ‘마인드카페’ 운영사 아토머스의 김규태 대표가 12월 23일 인터뷰에서 밝힌 포부다.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2021년 정신 건강 실태’에 따르면 성인 네 명 중 한 명은 최소 한 번 이상 우울장애, 불안장애 등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한다. 하지만 정신 장애를 진단받은 사람 중 실제 정신 건강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은 12.1%에 그치고 있다. 정신 건강 관련 서비스에 대한 거부감이 큰 탓이다. 이런 문제에 주목해 등장한 기업이 아토머스다.

2016년 익명 정신 건강 커뮤니티로 출발한 마인드카페는 현재 국내 15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국내 최대 규모 정신 건강 서비스로 성장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에 기반한 심리검사와 개인·그룹 상담, 코칭 정신 건강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며, 직영으로 운영하는 오프라인 상담 센터에서 필요에 따라 대면 치료도 받을 수 있다. 2021년부터는 B2B(기업 간 거래)로 사업을 확대해 200여 개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멘탈 헬스케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마인드카페도 투자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인드카페가 유치한 총투자액은 약 350억~400억원에 달한다. 이는 국내 멘탈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이 유치한 투자액 중 최대 규모다. 김 대표는 “코로나19를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멘탈 헬스케어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서비스 접근성 향상과 인식 개선에 앞장서는 기업이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며 “올해는 오프라인 거점과 B2B 사업을 확장해 기존 운영하던 플랫폼에서 좀 더 시너지를 내고 싶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대표와 일문일답.

창업 계기가 궁금하다.

”어려서부터 창업을 꿈꾸긴 했다. 멘탈 헬스케어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미국에서 대학 생활을 할 때다. 국제학을 전공했지만, 심리와 관련한 과목에도 관심을 가졌다. 또 유학 당시 스트레스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었을 때 학교에서 심리 상담을 받았는데, 이런 경험이 쌓이면서 이 시장의 가능성을 공감하고 발견했던 거 같다. 고민 끝에 2016년 익명 커뮤니티 형태로 마인드카페를 시작했다. 국내의 경우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게 사실이기에 관련 의료 서비스에 대한 심리적 진입장벽도 높다. 그런데 익명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니 사람들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이런 커뮤니티의 형성은 지금도 마인드카페만의 특장점이다.”

단순 커뮤니티 형태라면 수익성은 없었을 텐데. 어떻게 사업화했나.

”2019년 비대면 전문가 유료 상담을 본격 시작했다. 이후 3년 동안 연평균 매출이 세 배 이상씩 성장했다. 2021년에는 분당, 한남, 강남에 국내 최대 규모 오프라인 심리케어센터도 열어 오프라인까지 아우르는 멘탈 헬스케어 플랫폼으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이듬해 B2B 사업에도 진출했다. 삼성전자, 네이버, 현대중공업, 신한금융투자, 지그재그, 무신사, 토스, 샌드박스 등 현재 200여 개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서울시, 창원시, 국방부, 수원시 등과 협업하는 B2G(기업과 정부 간 거래)도 확장하고 있다. 이 밖에 정신과 전문의, 임상심리 박사 등 전문 연구개발(R&D) 인력을 둔 업계 최대 정신 건강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마인드카페’ 앱. /아토머스

B2B 서비스는 어떤 방식으로 제공하나. 실제 효과는 어떤가.

”진단, 상담, 치료를 제공하는 서비스 본질 자체는 똑같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빅데이터 기술로 시각화·통계화된 조직 진단 보고서도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심리적 안정감이나 업무 적합성 등을 개선 방안에 대한 분석도 전달한다. 특히 중요시하는 것이 이용자의 개인 프라이버시나 익명성 보장이다. 기업 근로자가 이런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불안감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기업 근로자의 반응도 좋은 것으로 알고 있다. 효과도 긍정적이다. 마인드카페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 근로자의 업무 생산성은 36% 증가했고, 불안 증세나 업무 시간 손실은 5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로 멘탈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는데.

”사실 멘탈 헬스케어 수요는 원래부터 컸다. 하지만 대면 치료나 상담에 대한 부담 때문에 문턱이 높은 게 사실이었다. 그런데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이 자연스럽게 비대면 서비스를 경험하다 보니 원격 진료 시장도 주목받았고, 멘탈 헬스케어 관련 비대면 플랫폼 사용도 늘었다(실제로 미국 최대 원격 진료 플랫폼 기업인 텔레닥(Teladoc)의 전체 매출 40%가량이 정신 건강 분야라고 한다). 시공간 제약 없이 익명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사용자 인식 개선을 이끌어낸 셈이다. 이에 만족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대면 서비스도 이용하게 된다. 즉, 전체 멘탈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의 최전방 밸류체인이 구축된 것이다. 마인드카페도 그 시장 구축에 일조하고 있고, 또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 같다. 결국에는 이 시장과 기존 대면 상담 센터, 병원과 연계도 강화될 것이다. 이에 아토머스 역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또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을 계기로 사회적이나 제도적으로도 정신 건강이나 심리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 같다. 최근에는 TV에도 이런 문제와 관련한 콘텐츠가 많아졌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재택근무 확대 등에 따라 근로자 정신 건강 중요성이 주목받은 것도 기회가 된 것 같다.”

멘탈 헬스케어 산업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까.

”멘탈 헬스케어는 기술적으로 혁신할 여지가 큰 분야다. AI, 빅데이터 등 기술 적용으로 초개인화, 상담 데이터 통계화·시각화 등이 가능해졌다. 아토머스는 디지털 치료제 시장 발전도 주목하고 있다. 조만간 디지털 치료제를 실제 대중화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소비자가 어떤 니즈를 갖고 있는지에 관해 진행한 설문 프로젝트를 세브란스병원과 협력해 논문화할 예정이다.”

해외에도 진출했다고. 반응은 어떤가.

”2022년 9월 일본에 진출했다. 한국에서 초기에 제공했던 것과 같은 형태의 익명 커뮤니티를 선보였고, 하루 평균 100건가량 상담 글이 올라오고 있다. 한국보다는 훨씬 빠르게 활성화하고 있다. 언젠가 수익 모델을 갖추게 되면 일본에 법인을 세울 계획도 있다. 유교권인 아시아 국가는 북미 지역보다 여전히 멘탈 헬스케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 달리 말하면 인식이나 접근성 문제만 풀어주면 더 폭발적인 성장과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이에 우선 아시아권에 집중해 시장을 여는 플레이어 역할을 하고자 한다.”

앞으로 목표는.

”일단은 한국과 일본에서 안정적으로 시장 선점을 하는 게 단기 목표다. 또 올해는 오프라인 센터를 더 늘리고 B2B를 강화해 기존에 운영하던 마인드카페 플랫폼에서 좀 더 시너지를 내고 싶다. 그리고 2024년에는 이 솔루션 결합을 통한 수익성 확대를 노리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산업군별 특징을 감안한 맞춤형 EAP(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예를 들어 콜센터, 상담직 같은 감정 노동 서비스 산업에는 멘탈 강화, 위험도가 높은 공사 현장이나 공장 같은 곳에는 안전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식이다.”

-더 많은 기사는 이코노미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

Part 1. 멘탈 헬스케어 테크가 뜬다

①'황금알 낳는 거위’ 멘탈 헬스케어

②[Infographic] 정신 질환 팬데믹과 헬스케어 혁신

Part 2. 멘탈 헬스케어 앞장선 기업들

③[Interview] 멘탈 헬스케어 유니콘 스프링헬스 공동 창업자 에이프릴 고

④[Interview] ‘마인드카페’ 운영사 아토머스 김규태 대표

⑤[Interview] 안용직 스타벅스코리아 파트너행복추진팀 팀장

Part 3. 전문가 제언

⑥[Interview] 마이클 어윈 UCLA 세멜 신경과학·인간행동연구소 소장

⑦[Interview] 전상원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소장

⑧[Interview] 이헌정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