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을 다 틀어막으면 계약한 기일에 맞춰 선적할 수 없게 돼 납품 지연이 불가피하고, 중기적으론 거래처와 신뢰가 깨지면서 거래선이 끊길 수도 있다.” (A사)
“가뜩이나 경기도 안 좋은데 나가야 할 상품 대기 보관이 길어지면서 물류비 부담도 늘어날까봐 걱정이다.” (B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지속·확대를 요구하며 오는 24일 다시 한번 총파업(운송거부)을 예고하면서 수출 중소기업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이번에 화물연대 파업이 현실화한다면 지난 6월 7~14일에 이어 두번째다.
당시 집계된 피해는 대기업을 포함해 약 2조~3조원이었으나 드러나지 않은 손해까지 합치면 그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위기 대응 능력이 대기업보다 취약한 중소기업은 생존을 우려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1∼2건의 선적 취소로도 기업의 존폐가 결정될 수 있다.
수출입 화주(貨主) 모임인 한국화주협의회의 이준봉 사무국장은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크게 악화할 수 있고, 이런 기업의 부담이 결국 국민에게 전가될 수 있다”며 “원자재를 수입하는 중소기업 역시 파업으로 차질을 빚게 되면 나가야 할 상품을 제때 생산 못할 수 있어 수출·입 기업을 막론하고 피해는 전방위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연간 무역적자는 400억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이후 14년 만이다. 여기에 수출 물동량마저 줄어들면 환율까지 불안해지면서 경제 전반이 침체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화물연대 파업 당시 국적선사와 함께 파업으로 발생한 중소기업의 물류 보관 비용을 감면한 바 있다. 수출 중소기업 C사는 “파업이 시작되면 물류비 감면이라도 절실하겠지만, 이는 미봉책일 뿐 파업 저지가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계는 불법 파업에 대한 정부의 엄정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파업하면 요구사항을 들어준다는 학습효과가 생겨선 안 된다”면서 “불법 파업을 절대 용인하지 않겠다는 메시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