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소상공인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상공인(D-SME)으로 거듭나면서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핵심 경제주체로 떠오른 가운데, 플랫폼과 디지털 상공인의 상생을 위해 정부의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국민대 혁신기업연구센터는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디지털 상공인과 플랫폼 생태계의 성장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스타트업 성장 분석 플랫폼 ‘혁신의숲’을 운영 중인 마크앤컴퍼니의 홍경표 대표는 “캐치테이블, 숨고, 크몽 등 전통적인 소상공인을 위한 혁신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의 출현으로 디지털 상공인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며 “디지털 상공인들은 스타트업의 서비스를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성장을 이뤄내고 있고, 이에 따라 디지털 상공인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상공인이 늘어나면서 그들을 위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도 성장하고, 스타트업들이 새로운 기술 혁신을 이루는 경우도 늘어나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플랫폼 기업의 소상공인 상생 모델도 소개됐다. 네이버(NAVER(035420))는 스마트스토어, 스마트플레이스 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데, 입점사를 상대로 무료 통계 분석 도구 ‘비즈어드바이저’와 금융기관의 저금리 대출을 받지 못하는 1년 이내 무점포 사업자 대상 ‘SME 대출’을 비롯해 ▲빠른 정산 ▲인공지능(AI) 쇼핑 추천 ▲AI 장소 추천 ▲쇼핑라이브 등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정책연구실의 송대섭 이사는 “응답자 112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사업자들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오프라인 매출이 5%가량 하락했지만,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온라인 매출이 1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밖에도 고용 증가, 신규 고객층 유입 등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플랫폼 사용료와 알고리즘 공정성 문제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플랫폼 사용료가 비싸고 제품 추천 알고리즘이 공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김도형 무신사 이사는 “사용료가 없는 플랫폼이 최선은 아니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판매자와 플랫폼 모두 이익이 남아야 하지만, 흑자를 내기 어렵다. 적정한 수준을 찾아가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판매자들이 만족할 만큼 수수료를 낮추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상생안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고리즘의 공정성도 놓쳐서는 안 되는 부분이라 많은 플랫폼이 고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플랫폼 기업의 상생 노력에 더해 정부의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주희 혁신기업연구센터 연구본부장은 “소상공인 보호보다는 디지털 상공인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조성과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성장 단계와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실적 위주의 지원사업은 실효성이 낮다”고 말했다.
그는 “조사 결과 디지털 상공인은 모험에 도전하고 새 기술에 적극적으로 먼저 다가가는 속성이 있다”며 “그렇다면 정부 정책은 소상공인을 단계별로 세분화 해야 한다. 디지털의 문턱 넘지 못한 소상공인은 문턱을 넘을 수 있게 지원하고, 이미 문턱을 넘은 사람은 날개를 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영상 축사에서 “윤석열 정부는 110개 국정과제 중 첫째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약속했다”며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소상공인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민간과 함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플랫폼과 소상공인 간의 상생 모델을 마련해 민간이 주도하는 상생협력 문화를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