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가 가파른 물가상승으로 2015년 1분기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민고통지수 상승은 민간소비위축 등 국내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는 만큼, 기업활력을 높여 물가를 안정시키고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이 5일 발표한 ‘국민고통지수 상승의 경제적효과 및 정책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는 10.6으로 집계됐다. 국민고통지수란 소비자물가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해 구하는데, 한경연은 실업률 대신 확장실업률을 활용했다. 확장실업률은 체감실업률 지표다. 한경연은 확장실업률이 발표된 2015년 1분기부터 분기별 국민고통지수를 산출했는데, 올해 1분기 수치는 조사 기간 중 최고치였다.

국민고통지수는 2020년까지는 10 아래에 머물렀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봉쇄 등으로 확장실업률이 9.1%로 정점을 보인 작년 1분기에는 10.5로 치솟았다. 같은 해 3분기에는 확장실업률이 6.6%로 낮아져 국민고통지수도 9.1로 떨어졌지만, 4분기엔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9.8로 높아졌다.

한경연 제공

한경연은 소비자물가가 아직 생산자물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는 데, 이는 기업들이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부담의 일부를 자체 흡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봤다. 그러나 향후에도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이 지속된다면 기업들의 원가부담 흡수여력이 약해져 소비자물가도 생산자물가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경연은 산출한 국민고통지수에 기초해 국민고통지수증가율 상승이 가계의 구매여력을 위축시켜 민간소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가늠해 봤다. 분석 결과, 전년동기 대비 국민고통지수 증가율이 1%포인트(p) 높아지면 민간소비증가율은 0.13%p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고통지수가 높아질 경우, 소비위축 등 경제악영향으로 실업이 증가하여 국민고통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져들 수 있다”며 “부족한 재정여력, 취약한 민간의 금융방어력 등으로 거시정책 운용의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기업의 활력제고를 통한 경제의 총공급능력 확충으로 물가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보다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