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수출 성수기를 앞두고 항만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화물이 제때 항만에 도착하지 않거나, 항만 내 선적·하역 작업이 오래 걸리면 고스란히 수출 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부산 북항의 장치율은 79%를 기록했고, 신항의 장치율은 80%를 넘어섰다. 장치율은 장치장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정도로, 보통 장치율이 80% 선을 넘어서면 항만 내 컨테이너를 재배치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큰 상황으로 본다. 수출 물동량이 늘어나는 성수기에 접어들었고, 중국 상하이 봉쇄도 단계적으로 완화하면서 컨테이너가 빠르게 쌓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화물연대가 이날부터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컨테이너 순환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은 2만5000명 정도로 전체 화물차 기사 가운데 6% 수준이지만, 시멘트 화물차주와 컨테이너 화물차주 비중이 크다. 지난해 11월 화물연대가 파업을 진행했을 때도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 물동량이 10분의 1로 줄고, 장치율이 90%를 웃돌기도 했다.
화물연대의 상급 단체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운수 부문 전 조합원에 화물연대 파업 기간에 발생하는 추가 화물에 대한 대체 수송을 거부하고, 대체 수송을 강제할 경우 즉각 보고하라는 행동지침을 내렸다. 전 조합원에 연대조직을 꾸릴 것도 지시했다.
화물연대가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걱정거리다.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는 “화물연대가 파업에서 더 나아가 비조합원 컨테이너 화물차주의 항만 출입을 방해하면 그때부터 항만 전체 스케줄이 꼬일 수 있다. 이게 가장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물류업계에선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이 운영에 차질을 빚으면 수출 물류 전반의 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항만 자체의 문제도 있겠지만 파업으로 항만까지 도착하는 과정도 불투명해졌다”며 “수출 화물을 항만에 반입할 수 있는 기간이 1년 가까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케줄 맞추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파업의 최대 쟁점은 ‘안전운임제’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주가 노선별로 받을 수 있는 최소 운임을 정해 화물차의 과로·과속·과적을 방지하기 위해 3년 일몰제로 2020년 도입됐다. 화물연대는 올해 말 일몰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계속 시행하고, 수출입 컨테이너와 시멘트 차량에만 적용하는 안전운임을 모든 차종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다. 수출기업 등 화주들은 안전운임제로 물류비 부담만 커졌다며 예정대로 안전운임제는 일몰하고, 다른 대안을 찾자고 주장하고 있다.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기 쉽지 않아 총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반출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고, 장치율이 높아져 항만 운영에 차질을 빚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정부는 비상수속대책 본부를 구성해 군 위탁 컨테이너 차량을 투입하고 화물열차를 늘리는 등의 비상 운송계획을 세웠다. 또 항만 등에서 화물차 진출입을 방해하는 행위 등을 감시해 엄정하게 대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