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공장에 머물던 로봇이 언제부턴가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었다. 로봇은 ‘홍반장’처럼 발레파킹은 물론 요리사와 바리스타, 배달원을 넘나들며 인간의 일상에 편리를 안겼다. 생산성 향상 목적이 강했던 산업용 로봇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까지 챙기는 쪽으로 진화하고 있다. 작년 초부터 겪은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은 로봇의 존재 가치를 크게 키우는 계기였다. ‘이코노미조선’이 인간과 로봇의 공생(共生)을 주제로 커버 스토리를 기획한 이유다. [편집자 주]

김영준 비거라지(B Garage) 창업자. 카이스트 전산학, 미국 스탠퍼드대 항공우주공학 석·박사, 전 네오위즈·구글·오라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비거라지

비거라지(B Garage)는 한국인인 김영준 대표가 2017년 미국에서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하늘을 나는 로봇’인 드론을 띄워 물류창고의 재고 현황을 조사하는 일을 한다. 미국 물류 업계에서 비거라지는 ‘핫’한 드론 업체로 주목받는다. 높은 조사 정확도 덕분이다. 재고 조사에 드론까지 동원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이 들 땐 미국 물류창고가 축구장 세 개를 합친 규모와 맞먹는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된다. 상당수 창고가 외딴곳에 있어 만성 구인난에 시달린다는 점도 드론의 등장을 물류 업계에서 반기는 이유다. 6월 11일 화상 인터뷰로 만난 김 대표는 최고의 자율비행 드론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처음부터 재고 조사를 염두에 뒀나.

”아니다. 내 최대 관심사는 자율비행 드론이었다. 2017년 창업 후 미국의 한 물류 회사 CTO(최고기술책임자)로부터 드론을 활용한 물류창고 재고 조사 프로젝트에 참여해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물류 생태계를 들여다봤고, 비즈니스 기회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어떤 포인트에서 사업 기회를 찾았나.

”사람이 하는 재고 조사의 정확도가 90% 이상이긴 했으나 100%에 가깝지는 않았다. 90% 넘으면 괜찮은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현장에 가보면 다르다. A라는 제품이 실제로는 품절인데 물류창고에는 재고가 있는 거로 잘못 체크됐다고 치자. 고객사는 제품이 있다는 말에 운송 차량을 보내고, 물류창고는 있지도 않은 물건을 찾느라 진땀 흘릴 수 있다. 엄청난 시간·돈 낭비다. 신뢰도 깎인다.”

드론의 조사 정확도는 사람보다 나은가.

”99% 이상의 정확도를 자랑한다. 드론의 카메라가 모든 제품 사진을 찍어 파악하기 때문에 정확할 수밖에 없다. 미국의 많은 물류창고 크기가 축구장 세 개를 합친 수준이라는 걸 기억해야 한다. 높이도 엄청 높다. 인간의 눈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물류창고 대부분이 주거지와 동떨어져 있다. 일할 사람을 충분히 구하는 것부터가 미국 물류 업계에는 난제다.”

드론의 실내 비행이 만만치 않을 듯한데.

”맞다. 하지만 동시에 경쟁사와 기술력 차이를 입증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비거라지의 자율비행 소프트웨어 기술력은 업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는 하드웨어(드론)도 직접 만든다.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기체를 만든다는 의미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자체 제작하기 때문에 상호 호환성도 뛰어나다.”

코로나19는 회사에 어떤 영향을 줬나.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은 온라인 기반의 실시간 유통 시스템을 뜨겁게 달구는 계기였다. 이제 물류는 ‘자동화’와 ‘실시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미션을 받았다. 드론의 역할은 앞으로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본다.”

향후 계획은.

”궁극적으로는 세계 최고의 자율비행 드론 개발사로 성장하고 싶다. 물류 외에 자동화를 요구하는 많은 분야에 비거라지 드론을 투입하는 미래를 그린다.”


<관련 기사>

[로봇 공생 시대] ①배달은 기본, 접객에 병원 일까지

[로봇 공생 시대] ②<Interview>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 프레스티지 이코노믹스 회장

[로봇 공생 시대] ③<Infographic> 로봇 에브리웨어 시대가 온다

[로봇 공생 시대] ④<Interview> 사카타 다이 소프트뱅크 로보틱스 최고사업책임자

[로봇 공생 시대] ⑤진화하는 산업용 로봇

[로봇 공생 시대] ⑥<르포> 세계 재난 로봇 경진대회 우승 ‘휴보’ 개발사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공생 시대] ⑦<Interview> 국내외 로봇 전문가 3인 인터뷰

-더 많은 기사는 이코노미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