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023530)이 번 돈으로 금융비용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6년째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쇼핑은 자산 매각과 부동산 재평가 카드를 통해 유동성을 확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제값을 받고 자산을 매각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래픽=정서희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쇼핑의 이자보상배율은 6년째 1.0배를 밑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0배를 밑돈다는 뜻은 사업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금융비용을 다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롯데쇼핑의 이자보상배율은 2019년부터 올해 3분기까지 0.4~0.9배를 오갔다. 2019년엔 0.9배, 2020년엔 0.7배를 기록하다가 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2021년엔 0.4배로 뚝 떨어졌다. 이후 2022년이나 2023년의 이자보상배율도 0.8배, 0.9배 수준을 기록했다. 벌써 수년째 이자보상배율이 1.0배 아래에 머문 것이다.

낮은 이자보상배율은 롯데쇼핑이 채권 발행에 나설 때 한 번씩 언급되곤 했다. 하지만 그때마다 우려를 불식시켜 주는 든든한 구원투수가 있었다. 첫 번째는 롯데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롯데케미칼의 지원이었고 두 번째는 롯데쇼핑이 가진 알짜 부동산이었다. 그룹 계열사 ‘형님’이 도와주거나 정 안 되면 부동산만 매각해도 채권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었다. 이런 판단에 따라 과거 롯데쇼핑의 회사채 발행엔 큰 문제가 없었다.

“롯데쇼핑은 4월 회사채 발행 당시 2500억원을 모집하려고 했다. 그런데 그때 몰려든 자금만 1조9000억원이었다. 당시 시장에선 주식은 몰라도 회사채는 괜찮을 것으로 봤다. 롯데케미칼이 이 정도로 안 좋으리라고 생각하지 못했고, 자산 매각도 나서기만 하면 문제없이 팔릴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채권 애널리스트)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예전과 다르다. 롯데케미칼은 중국 석유화학 회사들의 대규모 증설에 발목이 잡혀 더 이상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편이 못 된다. 쇼핑 자산 매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알짜가 아니고서는 제값을 받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백화점 점포는 구조적인 특수성 때문에 땅값만 받고 매각되는 경우가 많은 탓이다.

한 부동산 매각 주관사 관계자는 “백화점 건물은 에스컬레이터가 중간에 뚫려있고 건물 외곽에 엘리베이터가 있는 구조에 변화를 주기 쉽지 않다. 쉽게 리모델링을 할 수 없으니 매수자 입장에서는 땅값만 주고 사려고 하고, 철거 비용 등을 매도자에게 얹는 경우가 많다”며 “한마디로 제값을 받고 팔기 어렵다는 뜻”이라고 했다.

게다가 롯데쇼핑이 매각하려는 점포는 대부분 성과가 적은 지방에 있다. 지방 소멸과 맞물려 제값을 받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이 정리하려는 백화점 점포는 부산 센텀시티를 포함해 경기 일산, 대구 상인, 경북 포항 등으로 알려졌다.

지역 일자리 문제와 결부되면서 대관 문제도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점포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중형 백화점 점포 한 곳당 고용인원은 4000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는 협력판매사업이나 용역 근로자까지 합친 수준이지만 지방 지자체에서는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롯데쇼핑 제공

유통업계에서는 일단 재무적으로 숨통을 트기 위해 자산 매각과 부동산 재평가에 나서는 것은 당연하고, 근본적으로 성장을 하려면 눈에 띄는 수익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롯데쇼핑에서 당장 기대하는 건 내년부터 영국 기업 ‘오카도’와 협업하는 ‘신선식품·식료품’ 온라인 사업이다. 내년 상반기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내고 2030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물류센터 구축(6곳)까지 진행하는 건인데 성과가 반드시 나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롯데그룹 인사에서 유통군 수장들은 살아남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신동빈 회장이 성과까지 끌고 가보라는 메시지가 담겼다고 봐야 한다”면서 “지금까진 투자였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시간을 좀 번 셈이다. 성과가 확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를 두고도 회의적인 시각은 있다. 온라인 커머스 쿠팡이 이미 생필품이나 공산품을 넘어 신선식품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실기를 했다는 지적이다.

최근 쿠팡은 수산물을 산지에서 상품 검수, 포장, 운송장 부착을 끝내고 곧바로 배송 캠프로 이동하는 산지직송 방식으로 배송하고 있다. 통상 반나절 만에 수확부터 배송 출발까지 이뤄져 소비자는 새벽에 잡힌 물량을 이르면 다음 날 새벽에 바로 받아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롯데쇼핑 관계자는 “온라인 그로서리 시장 진출을 위한 오카도 도입과 신규 성장 동력인 리테일 미디어 네트워크(RMN) 사업 육성을 통해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구축해 수익성을 키울 예정”이라며 “베트남에서 사업 확장에 나서면서 내년엔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