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화장품 그룹 에스티로더컴퍼니즈(이하 에스티로더)에 1조원대에 인수된 케이(K)뷰티 브랜드 닥터자르트의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 K뷰티가 제2 전성기를 맞은 이때, 에스티로더의 ‘아시아 1호 인수 브랜드’로 주목받던 닥터자르트는 왜 성장이 뒷걸음질 친 걸까.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닥터자르트를 운영하는 해브앤비는 2024 회계연도(2023년 7월~2024년 6월) 매출이 23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영업 적자는 144억원으로, 이 회사가 최근 10년 사이 영업 적자를 낸 건 처음이다. 당기순이익도 106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닥터자르트는 2004년 건축학도 출신의 이진욱 대표가 설립한 더마 코스메틱(약국 화장품) 브랜드다. BB크림, 세라마이딘, 시카페어 등을 히트시키며 성장했다. 2015년 에스티로더에 지분 33.3%를 매각한 데 이어, 2019년 11월 나머지 지분 전량을 매각해 ‘K뷰티 성공 신화’로 불렸다. 당시 회사의 기업가치는 17억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2조원)로, 인수 대금은 약 11억달러(1조3000억원)로 알려졌다.

그래픽=정서희

◇기업가치 2조 받고 인수했는데 쪼그라드는 매출

하지만 주인이 바뀐 후엔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2019년만 해도 매출 6346억원, 영업이익 1214억원이었으나, 올해 회계연도 매출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에스티로더는 회사를 인수한 후 2021년 유한회사로 전환하고 사업연도를 12월 말에서 6월 말로 변경했다.

에스티로더는 닥터자르트를 인수한 이듬해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유상감자를 통해 2208억원의 투자금을 회수하는 등 네 차례에 걸쳐 유상감자를 진행, 총 4069억원의 투자금을 회수했다. 이에 따라 인수 당시 2억원이던 자본금은 1억4035만원으로 줄었다.

유상감자란 회사가 주식을 유상으로 소각해 자본금을 줄이는 것으로, 기업 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거나 주주들이 투자금 회수를 요구할 때 단행된다.

에스티로더는 지난 8월 실적 발표에서 닥터자르트가 예상보다 낮은 성장과 수익성으로 인해 4분기에 4억7100만달러의 손상 비용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에스티로더는 크리니크와 조말론, 아베다, 맥(MAC) 등을 운영 중인데, 코로나19 이후 중국 등 아시아 면세 사업의 약세로 2024 회계연도 매출이 전년 대비 2% 감소하고, 같은 기간 순이익은 61% 줄었다.

◇비중국 시장으로 판로 다시 짠다... 美日 채널 확대

에스티로더는 한때 중국에서 매출의 30%를 벌어들였으나, 중국에서 ‘애국 소비’ 열풍으로 자국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여행 소매(면세) 부문 매출이 감소하면서 실적이 악화했다.

닥터자르트도 중국향 브랜드로 급성장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닥터자르트의 2018년 국내 면세 판매액 2409억원으로 샤넬, 구찌, 루이비통 등 명품보다 돈을 더 벌었다. 에스티로더가 K뷰티에 주목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 유니레버가 AHC 운영사 카버코리아를 3조원에, 로레알이 3CE 운영사 스타일난다를 6000억원에 인수한 이유도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서였다.

닥터자르트의 첫 글로벌 앰배서더(홍보대사)로 선정된 엔하이픈. /닥터자르트 제공

그러나 중국 현지에서 한국 화장품의 영향력이 약화하면서 이들 브랜드 역시 실적이 감소했고, 희망퇴직(카버코리아)을 시행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을 축소하는(스타일난다) 등 잇달아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관세청에 따르면 대중국 화장품 수출은 2021년 49억달러(6조6517억원)에서 지난해 28억달러(3조8010억원)로 쪼그라들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닥터자르트의 경우 BB크림을 대중화해 면세점 등에서 크게 성공했으나, 이후 그만한 히트 상품을 내지 못했고 그사이 비슷한 콘셉트의 중저가 브랜드들이 많이 나오면서 브랜드력이 이전보다 약해졌다”라고 평가했다.

닥터자르트도 다른 K뷰티 브랜드처럼 비중국 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하는 모양새다. 일본과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관심이 커지는 걸 고려해 지난 7월 미국의 아마존 프리미엄 뷰티 스토어에 입점하고, 앳코스메, 마츠모토키요시 등 일본 드럭스토어 재진출했다. 지난해엔 K팝 아이돌 그룹 엔하이픈을 글로벌 앰버서더(홍보대사)로 선정해 인지도 제고에 나섰다.

에스티로더에 따르면 닥터자르트는 지난해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매출이 두 배 이상 증가했고, 미주 시장에서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여행 소매 채널에서 (닥터자르트를) 철수하고 중국 본토와 서구 시장을 포함한 수익성이 더 높은 다른 사업 분야에 직접 투자를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