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옛 한국야쿠르트)의 배달앱 시장 진출이 초읽기에 돌입했다. 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 3강(三强) 체제로 이미 ‘레드오션’인 배달앱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지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선 hy의 성공 가능성을 두고 엇갈린 분위기다. 관건은 hy의 서비스가 기존 배달앱보다 뛰어난 점이 있냐는 것이다.

hy(옛 한국야쿠르트)가 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 3사로 포화 상태인 배달앱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배달앱 '노크(Knowk)'를 이달 말 출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1 갈무리

23일 배달업계에 따르면 hy는 이달 말 배달앱 ‘노크(Knowk)’를 출시해 서울 강서구에서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해당 지역은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만큼 배달 주문 비중도 높은 편이다. 노크는 시범 운영을 통한 데이터를 축적한 뒤 향후 혜택과 서비스 지역을 조정할 예정이다. hy 관계자는 “그간 야쿠르트 배달을 통해 쌓아 온 데이터·노하우 등도 배달 플랫폼 과정에 일부 반영됐다”며 “핵심 사업인 ‘정기 구독 서비스’와 노크를 연계하는 사업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배달 플랫폼 론칭은 hy에도 새로운 도전”이라며 “아직 서비스 지역 확대 시점 등 구체적으로 정해진 건 없다”고 덧붙였다.

hy 배달앱이 곧 새로운 돌풍이 될지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상반된다. 일각에서는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쿠팡이츠·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 3사로 굳혀진 배달시장을 뚫고 들어가기 어려울 거라고 본다. 이들은 배달시장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시장 점유율 70%에 달하는 배민보다 더 나은 기능을 hy 배달앱이 가졌는지는 의문”이라며 “배민 이용자들이 혹할 만한 특장점이 있어야만 고착화된 배달시장에 작게나마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와 달리 hy 배달앱이 새로운 선택지가 될 거라는 시각도 있다. 이미 레드오션 상태인 배달앱 시장에서 독·과점 지위에 있는 주요 배달앱 3사의 운영 정책에 실망한 배달 라이더·점주들에겐 대안책이라는 것이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hy는 노크가 점주 친화적인 배달 플랫폼이라고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며 “극에 달한 점주·라이더들의 기존 배달앱에 대한 원성과 불만을 잠재울 수 있는 기능을 노크가 갖고 있다면 충분히 새로운 돌풍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hy는 배달앱 노크의 중개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인 5.8%로 결정한 상태다. 고정비나 가입비, 광고비 등 추가 요구도 없다. 중개 수수료는 요기요가 12.5%로 가장 높고, 쿠팡이츠는 9.8%, 배민은 6.8%다. hy 관계자는 “입점업체에 대한 최저 중개 수수료 적용 외에도 조건 없는 무료 배송 등으로 소비자들의 마음도 얻고자 노력할 예정”이라며 “쿠팡이츠도 와우 회원에 한한 무료 배송 아닌가. 그런 조건을 아예 두지 않는 무료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해당 배달앱은 출시 예정 발표만 있었을 뿐, 시범 운영부터 사업의 방향까지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다”며 “후발주자로 배달앱 시장에 들어와서 자리를 잡을 정도의 역량이 있는지 판단 여부는 시범 운영이 끝난 뒤에 해도 늦지 않다”라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선발주자들이 이미 형성한 시장에 후발주자로 들어가 성공하는 확률은 희박하다”라면서도 “다만 후발주자가 선발주자를 뛰어넘는 차별점이 있다면 얘기는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