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자영업자들이 오는 21일 배달의민족(이하 배민) 앱(애플리케이션)의 배달 서비스 ‘배민1’을 보이콧(Boycott·거부)하기로 했다. 이른바 ‘배민이 하라는 대로’ 따랐던 배달 대행·포장 주문 중개 수수료 관련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서다.

일러스트=손민균

14일 조선비즈 취재를 종합하면 ‘공정한 플랫폼을 위한 전국 사장님 모임(이하 공사모)’은 오는 21일을 ‘가게 배달의 날’로 정해 배민1 보이콧에 나설 예정이다. 그간 배민을 포함한 여러 배달 앱이 새로운 서비스 정책을 공지하더라도 볼멘소리만 냈던 자영업자들이 단체 행동을 나선 것이다. 다만, 해당 행동엔 의무나 강제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보이콧을 주최한 공사모는 자영업자 300여 명이 있는 온라인 모임이다. 공사모를 만든 김영명(36)씨는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 관련 내용을 담은 포스터와 함께 ‘배민에 업주들도 뭉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려고 합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해당 글엔 “배달 앱 노예로 살지 않겠다”, “무조건 참여하겠다”, “배민1로 해봤자 남지도 않는데, 하루 딱 멈춰서 사장님들과 함께하겠다”, “첫술에 다 못 뭉쳐도 해볼 때까진 해볼 것” 등 250여 개의 공감 댓글이 달렸다.

김씨는 “배달 앱들이 새롭게 내놓은 정책이 강압적이면서도 일방적으로 수용하도록 한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게 배민1 중개 수수료”라며 “고물가 시대에서 결국 음식 가격이 오르는 건 물가 상승이 아닌 배달 앱에 줘야 하는 수수료를 벌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영업자도, 소비자도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지점”이라고 했다.

배민1은 한 명의 배달원이 한 번에 한 집만 배달하는 단건 배달 서비스로 2021년 배민이 선보였다. 고객이 배민1으로 음식을 주문하면 입점 점주는 중개 수수료(6.8%)와 카드 수수료(3%), 부가세 등을 더해 총 10.78%를 수수료로 배민에 지불해야 한다.

여기에 배민1 배달 대행 비용 6000원이 추가로 적용된다. 부담 비율은 배민에서 정한다. 기존엔 업주가 정한 비율로 소비자와 업주가 배달 비용을 분담해 왔으나, 최근 배민이 ‘배민1플러스’로 이름을 바꾸고 무료 배달로 전환하면서 업주의 비율 분담권을 회수했다. 대신 입점 점주가 지급해야 하는 배달 비용을 2500원에서 3300원으로 고정했다.

이에 따라 3만원짜리 음식에 대한 자영업자의 수수료·배달비 부담은 최대 6534원이 된다. 여기에 배민은 새로운 정책으로 포장 중개 수수료도 6.8% 받겠다고 공지한 상태다.

결국 배민1을 이용할수록 중개 수수료와 고정 배달비 부담이 커져 이윤을 챙기기 위해 음식값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게 자영업자들의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영업자는 “지난 3월엔 배달 대행비를 7000원으로 책정하기도 했다”며 “배민 측에서 배달 비용을 고정한다고 했지만 언제든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배달의 민족 자회사 '딜리버리N' 앞에 오토바이들이 주차되어 있다. /뉴스1

이에 배민 측은 플랫폼 입점 업주를 포함한 자영업자들과 소통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바뀌거나 새롭게 도입되는 정책에 대해서는 미리 공지하고, 충분히 유예 시간도 주고 있다”면서 “이번 포장 중개 수수료 부과 정책에 대해서도 기존 입점 업주들에게 내년 4월부터 시행된다고 안내했다”고 말했다.

이어 “플랫폼 입점 업주 80% 이상이 포장 서비스에 가입된 상황에서 안내해 드린 내용이 당장 부담이 생기는 구조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보이콧 관련 공식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배민 앱에 입점한 자영업자가 수십 만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개개인의 입장이 다를 수밖에 없는데, 모든 입장을 플랫폼에 반영하는 건 불가능할뿐더러 플랫폼 이용 자영업자 중 보이콧을 추진한 자영업자들의 대표성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관계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도 오는 2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앞에서 배민의 운임 삭감과 근무조건 일방 변경 등에 대한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구교현 라이더유니온 지부장은 “이번 가게 배달의 날과 함께 맞추면 시너지 효과가 있어 보여 같은 날에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며 “국회 앞 집회는 배민을 중심으로 배달 앱의 정책들이 자영업자와 라이더를 쥐어짜는 부분을 비판하고 관련 법을 발의해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하고자 모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