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시내 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기사 내용과는 무관.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액이 85억달러(약 11조원)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 국내 화장품 수출액보다 6.4% 늘어난 규모로 2021년 수출액(92억달러)에 이어 역대 2위다. 중국 수출액은 감소했지만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 규모가 커지면서 나타난 결과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발표한 ‘2023 국내 화장품 생산·수입·수출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업계의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약 28억달러(약 3조6000억원)로 5년째 가장 많았다. 하지만 규모는 지난해 대비 23.1% 감소했다.

반면 지난해 북미 수출액은 13억달러(약 1조7000억원), 유럽 수출액은 11억달러(약 1조6000억원)를 기록했다. 두 지역 수출액 모두 지난해 처음으로 수출액 10억달러를 넘었다.

특히 지난해 미국 내 수입 화장품 중 한국 화장품이 중국을 제치고 5위에 올랐다. 지난해 중동 수출액도 전년 대비 39.9% 증가했다. 이외에 오세아니아 수출액도 39.2% 늘었고, 중남미를 중심으로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28.7% 증가했다.

중국을 제외한 북미, 유럽 등 전 대륙권에서 국내 화장품 수입 규모가 커지고 있고, 수출국은 165개국까지 확대되는 등 수출 다변화 흐름이 나타났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화장품 수출 호조는 올해도 이어져 1분기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1.7% 증가한 23억달러(약 3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분기 기준 최대 규모다.

다만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입액은 전년보다 1.5% 감소한 13억달러(약 1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4억9000만달러), 미국(2억6000만달러), 일본(1억1000만달러), 태국(7000만달러)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