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추석을 앞두고 5일 찾은 부산 한 전통시장. /뉴스1

2012년 도입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취지와 달리 전통시장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비대면 소비 등과 맞물려 전자상거래(이커머스)가 반사이익을 누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일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김지향 의원(국민의힘·영등포4)이 공개한 ‘서울의 온오프라인 소비지출 변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인 2·4주 일요일에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소비지출은 줄었으나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 등의 소비지출은 늘지 않았다.

이는 서울시의회와 서울연구원이 국내 대형 카드사에 공동 의뢰해 서울시민의 소비행태를 분석한 결과다.

카드사는 서울 거주 카드소지자를 대상으로 2019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5년간의 카드지출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가운데 119만여 명의 일일 소비지출 패턴을 조사하고 오프라인 종합소매업 지출 비율이 5년 전보다 10%p 증감한 2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올해 1∼6월 쿠팡, 마켓컬리 등 무점포 온라인 마트의 지출은 코로나19 이전(2019년 7월∼2020년 1월)보다 64%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오프라인 지출은 약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 오프라인 지출은 주중보다 주말에 집중된 반면, 온라인 지출은 주말에 감소했다가 주중에 다시 늘어나는 흐름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식품 구매 시 찾는 점포 유형으로는 무점포 온라인 마트(32%)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오프라인 대형마트(24%), 온라인 쇼핑몰(20%), 오프라인 기반 온라인 마트(10%) 등의 순이었다. 전통시장(3%), 골목상권 소매점포(2%)를 이용한다는 응답률은 미미했다.

비식품 구매 시에도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한다는 응답은 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무점포 온라인 마트(33%)가 2위를 차지했다. 동네 슈퍼마켓이나 SSM(4%), 골목상권 소매점포(2%), 전통시장(1%) 등은 응답률이 낮았다.

김 의원은 “2019년 423개였던 대형마트는 올해 401개로 22곳이 폐점했고 이로 인해 3만여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며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대형마트 규제는 무점포 온라인 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이커머스 시장 확장으로 연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달라진 현실에 맞춰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규제는 완화하고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 대한 지원 정책을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서울연구원과 함께 13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서울 소비패턴 변화와 지역경제 활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중심으로’ 토론회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