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보다는 배달로 먹을 때 더 가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달비를 제외하고 나온 결과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온라인 음식서비스 시장이 확대되면서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관련 소비자 불만도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음식점별 가격 실태조사 결과/한국소비자원 제공

21일 한국소비자원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에 입점한 서울 시내 34개 음식점의 1061개 메뉴 가격을 조사한 결과 메뉴 2개 중 1개는 매장에서 먹을 때보다 배달로 주문할 때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분식집 12곳과 패스트푸드·치킨 전문점 8곳 등 20개 음식점(58.8%)이 매장과 배달앱 내 음식 가격을 다르게 책정했다. 이 중 13개 음식점은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하지 않았다.

메뉴별로 보면 1061개 메뉴 중 51%에 달하는 541개 메뉴에서 가격 차이가 났다. 이 중 97.8%에 해당하는 529개 메뉴는 매장에서 사먹을 때의 가격보다 배달로 시켜먹을 때의 가격이 더 비쌌다. 가격 차이는 평균 10.2% 수준으로 더 높았다. 매장에서 사먹을 때 평균 가격이 6081원이었다면 배달을 시켜 먹을 때는 6702원이었다는 뜻이다.

한편 배달앱 중개수수료와 광고비가 오르면서 소상공인의 부담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상공인은 음식 가격을 높이거나 음식량을 줄이는 등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외식업주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개 수수료 인상 시에는 49.4%, 광고비 인상 시에는 45.8%가 음식 가격이나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비를 올리거나 음식량을 줄였다고 답했다.

한편 배달의 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민간 배달앱과 대구로·먹깨비·배달의명수·배달특급 등 공공 배달앱의 소비자 종합만족도는 평균 3.52점이었다. 전체적으로 공공앱의 만족도가 민간보다 높았다. 업체별로는 대구로 3.62점, 쿠팡이츠 3.58점, 배달특급 3.54점, 먹깨비 3.53점이었다. 그 뒤를 요기요(3.45점), 배달의 민족(3.40점)이 뒤따랐다.

소비자원은 “배달앱 사업자에게 중개수수료와 배달비 조정을 통한 상생 방안 마련을, 외식업 유관 단체에는 배달앱 내 가격 표시 관련 교육 및 홍보 강화를 권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