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이 쿠팡과 네이버 등 대형 플랫폼 사업자들의 문어발식 확장에 문제를 제기하는 ‘쿠팡 시장침탈 저지 전국자영업 비상대책위원회(쿠팡 비대위)’를 발족했다. 이들은 쿠팡이 진출한 퀵커머스(소량의 생필품을 1시간 내 배송)와 식자재 납품업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일 서울상인연합회, 전국중소유통상인협회, 한국마트협회, 한국편의점주협의회 등 11개 소상공인 단체는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쿠팡 비대위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기업 플랫폼들이 탐욕의 민낯을 드러내며 삶의 터전을 앗아가고 있다”며 “플랫폼의 창고형 마트와 식자재 납품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이 문제 삼는 것은 쿠팡의 퀵커머스 사업과 식자재 납품업이다. 쿠팡은 7월부터 서울 송파구 일부 지역에서 소량의 식료품이나 생필품을 15분내에 배달하는 쿠팡이츠 마트를 시범 서비스 하고 있다. 앞서 2019년 모바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업체인 배달의민족(배민)과 요기요가 각각 B마트, 요마트를 선보인 바 있다.
6월부터는 식자재 B2B(기업간 거래) 플랫폼인 쿠팡이츠딜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했다. 쿠팡 모바일 배달 앱인 쿠팡이츠 평점이 높고 배송이 빠른 치타배달 음식점을 대상으로 채소, 고기, 우유 등의 로켓프레시 식재료를 저렴하게 납품하는 방식이다.
쿠팡 비대위는 “쿠팡의 무한 사업확장으로 인해 기존 유통시장의 질서가 흔들리면서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무한 경쟁에 타 플랫폼 및 기존 유통 대기업까지 쿠팡화(化)에 속도를 내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중소상인 자영업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쿠팡이츠 마트는 물론 B마트, 요마트가 편의점과 비슷한 물품을 취급하며 배달까지 하지만 법적 규제는 받지 않아 골목상권을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편의점은 출점 제한 규제가 있다. 또 쿠팡이츠딜은 쿠팡의 악성 재고와 신선식품 재고를 쿠팡이츠 입점업체들에게 판매해 수익성을 개선하려는 시도라고 본다.
쿠팡 비대위는 “네이버도 최근 신세계(004170), CJ대한통운(000120) 등과 지분교환을 통해 유통과 물류를 강화하고 풀필먼트(상품 보관·포장, 출하, 배송 등 일괄 처리) 센터에 1조원을 투자하고 배달대행 업체에 투자하는 등 퀵커머스로 사업을 확대할 태세”라며 “더불어민주당은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을 평일로 이동하고 온라인 판매에 영업제한과 의무휴업을 미적용하는 입법을 추진 중이어서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쿠팡 비대위는 향후 쿠팡이츠 마트, 요마트 등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와 쿠팡이츠딜, 배민상회(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식자재 납품업) 등의 B2B(기업 간 거래) 업종을 동반성장위원회에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쿠팡이 지난달부터 시범 도입한 MRO(소모성 구매자재대행) 서비스 쿠팡비즈와 관련해선 동반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상생협약에 쿠팡을 신규로 참여시키도록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쿠팡은 “대형마트 등 대기업에 입점하지 못하는 수많은 소상공인들의 상품을 쿠팡이 직매입과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할 수 있도록 판로를 열어주고 있다”며 “퀵커머스 시장은 대형마트와 대형 포털 사이트, 배송중개업체 등 수많은 기업이 이미 진출한 시장으로 쿠팡은 후발주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