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035760)과 IPTV(인터넷TV)업계가 콘텐츠 사용료 인상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IPTV 업계가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이 과도하다고 주장하자 CJ ENM은 “IPTV가 콘텐츠의 가치를 지나치게 저평가하고 있다”고 맞섰다.

CJ ENM은 지난 20일 입장문을 내고 IPTV 3사와 올해 실시간 채널 공급에 따른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율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시청 점유율 상승에 따른 당사 채널의 영향력과 제작비 상승 및 콘텐츠 투자 규모에 걸맞는 요구안을 가지고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CJ ENM 로고. /CJ ENM 제공

CJ ENM 입장문을 낸 배경에는 IPTV 업계의 도발이 있었다. IPTV 3사는 같은 날 CJ ENM이 대형 콘텐츠 사업자가 플랫폼 사업자에게 전년 대비 25% 이상의 콘텐츠 공급 대가 인상을 요구하고 있고, 이는 과도한 요구라며 성명을 발표했다. CJ ENM은 IPTV에서 tvn, 올리브 등 채널을 운영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 인상안이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콘텐츠 공급을 중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는 “비상식적 수준으로 인상하려는 시도를 중단하라”며 “이 사업자는 자사 OTT엔 같은 콘텐츠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한다. 유료방송 사업자에 대한 차별 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CJ ENM은 곧장 입장문을 내고 IPTV 3사가 콘텐츠의 가치를 저평가하고 있다며 ‘콘텐츠 제값 받기’가 필요하다고 맞섰다. 2019년 IPTV가 고객들에게 수취한 기본 채널 수신료 매출과 홈쇼핑 송출수수료 매출 중 16.7%만이 실시간 채널 공급 대가로 전체 방송채널사업사용자(PP)에게 배분되고 있다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케이블TV, IPTV, 위성방송 등이 국내 PP에 제공하는 프로그램 사용료 비율은 33.4% 정도다. 이에 대해 CJ ENM은 “국내외 음원·웹툰 플랫폼과 극장 등 다른 플랫폼 사업자들은 콘텐츠 제공사에 매출의 약 50~70%를 배분한다”며 “이에 비해 지금껏 IPTV가 챙겨간 몫은 과도하다”고 했다.

IPTV가 다른 플랫폼 사업자보다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도 했다. CJ ENM은 “IPTV는 유료방송 플랫폼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수준의 사용료를 제공한다”며 “IPTV 3사는 기본채널 수신료 전체 금액의 약 80%가 플랫폼 몫이고 20%만 프로그램 사용료 명목 PP 몫”이라고 지적했다.

CJ ENM은 또 IPTV 업계가 홈쇼핑 채널에서 받는 송출수수료(채널에 방송을 내보내는 대가로 지불하는 수수료)가 지난 5년간 연평균 39%씩 인상됐다는 점도 짚었다. 이와 비교해 국내 방송사의 콘텐츠는 헐값에 팔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방송 산업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방송 사업자들의 2019년 홈쇼핑 송출 수수료 매출은 1조8278억원으로 전년보다 1839억원 늘었다. 세부적으로는 IPTV 업계가 9064억원, SO(종합유선방송)가 7468억원, 위성방송이 1746억원 순이다.

그러나 홈쇼핑 업체들이 TV 채널을 통해 벌어 들이는 수익은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TV홈쇼핑협회에 따르면 국내 7개 홈쇼핑 업체의 TV 방송 취급고(총매출액) 비중은 2016년 50.8%에서 2017 48.9%, 2018년 47.0%, 2019년 46.3% 등으로 줄었다. CJ오쇼핑(현 CJ온스타일)의 경우 방송 부문의 취급고가 2019년 2조1123억원에서 지난해 1조8020억원으로 1년 새 14.7% 감소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과 라이브커머스 등으로 수요가 옮겨가면서다.

CJ ENM은 IPTV 업계가 넷플릭스, 디즈니 등 외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모시기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회사는 “일부 IPTV사는 해외 OTT에게는 파격적인 수익배분을 해 주면서 국내 방송사의 콘텐츠 평가에는 인색하다”며 “저가의 프로그램 사용료는 방송사의 콘텐츠 투자 위축을 불러온다”고 지적했다. 현행 IPTV 업체와 넷플릭스 간 수익 배분 비율은 1 대 9 수준으로 알려졌다.

CJ ENM은 이어 “IPTV와 모바일 IPTV는 별개 서비스임에도 지금까지 IPTV 프로그램 사용료 계약에 묶여 헐값에 콘텐츠를 제공했다”며 “올해부터는 사용자 확대에 따른 OTT 위상에 걸맞은 콘텐츠 제값 받기가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IPTV 계약과 분리된 별도의 재계약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