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잠든 사이의 뇌과학./웅진지식하우스 제공

인간은 인생의 3분의 1을 꿈을 꾸며 보낸다. 과거 학자들은 자율신경성 활동이 불규칙한 ‘렘수면’ 단계에서만 꿈을 꾼다고 여겼다. 자는 동안 1~2시간 정도 꿈을 꾸며 인생 전체로 따지면 약 12분의 1을 꿈속에서 보낸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최근 실험에서는 렘수면뿐만 아니라 수면의 모든 단계에서 꿈을 꿀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신경외과 전문의이며 신경과학자인 라훌 잔디얼은 최근 번역·출간된 신간 ‘당신이 잠든 사이의 뇌과학’에서 이처럼 일생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꿈의 메커니즘, 특정한 내용의 꿈을 꾸는 이유 등을 해설한다.

책에 따르면 꿈은 뇌의 전기 자극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잠든 인간은 수동적 상태로 보이지만, 뇌는 꿈을 꾸고 있을 때 가장 생생하게 반응한다. 뇌에서 생존과 관련된 반응이나 감정 또는 기억과 관련된 부분인 감정 변연계는 꿈을 꾸는 동안 깨어 있을 때의 최대 4~5배 정도의 신진대사를 보인다.

관능적이거나 에로틱한 내용의 꿈은 원하지 않는다고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평소 활발한 성적인 활동을 하는지, 혹은 금욕주의적인지에 따라서 등장 여부가 달라지지 않는다. 인간은 어린 시절에 악몽을 가장 많이 꾼다.

꿈꾸는 뇌가 가진 상상력은 어디에서 출발할까. 책에 따르면 뇌는 깨어 있는 동안 이성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인식하는 등 ‘현실 감각’을 책임지는 ‘수행 네트워크’를 늘 켜놓는다. 그러나 잠에 드는 순간, 이 수행 네트워크의 전원은 꺼지며 곧이어 ‘상상력 네트워크’에 불이 켜진다. 꿈의 시나리오는 이 ‘상상력 네트워크’가 쓴다. 상상력 네트워크에 의해 무작위로 만들어진 생각들이 모여 곧 꿈이 되는 것이다.

꿈이 가져오는 수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람들은 이 상상력 네트워크가 만들어내는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꿈은 잠을 푹 자지 못할 때나 꾸는 것이라는 잘못된 상식을 믿거나, 꿈은 그저 꿈일 뿐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더 많다. 저자는 이러한 무한한 상상력의 세계인 ‘꿈’에 주목한다. 그 경험을 영감으로 삼은 사람들도 있다. 그 사람들은 꿈을 통해 위대한 발견을 해내기도 하고, 세상에 없는 것을 만들어내는 등 대단한 업적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뇌 덕후로 알려진 저자는 매일 밤 뇌가 보여주는 꿈을 기억해볼 것을 제안한다. 저자는 꿈이 곧 현실의 문제를 비추는 거울인 동시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답지’라는 것을 다양한 사례로 조명한다.

진화는 생존에 유리한 특성들을 유지한다. 꿈 역시 인간 진화의 산물일 수 있다. 꿈은 인간의 의지가 아닌 뇌가 벌이는 일이기 때문이다. 꿈은 초월적 상상력으로 창의성의 물꼬를 터주고, 최악의 시나리오를 통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게 해주며, 우리에게 닥칠 신체적·정신적 위험에 신호를 보낸다. 저자는 “꿈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정신적 작용”이라면서 “인간은 꿈을 꾸기 위해 진화했다”고 말한다.

라훌 잔디얼 지음 | 조주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ㅣ296쪽ㅣ1만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