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부산 해운대구 바다마을 포장마차촌 입구에 바다마을 상인회의 '그동안의 성원에 감사드린다'고 적힌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뉴스1

부산이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 위험 지역’에 진입했다. 부산 영도구와 동구 등 원도심 뿐만 아니라 바닷가에 높은 고가 아파트가 늘어서 있는 해운대구도 소멸 위험 지역에 포함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8일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서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올해 3월 기준 소멸 위험 지역 현황과 특징을 분석했다.

일본 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増田寛也)는 어떤 지역의 20~39세(임신·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눠 ‘소멸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이 값이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진입 단계’,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단계’로 분류한다. 지수가 낮을 수록 소멸 위험이 큰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전국 지자체를 이 지수를 이용해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17개 시·도 중 소멸 위험 지역은 7곳이다. 부산은 인구 329만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23%에 달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고, 20~39세 여성 인구는 11.3%에 그쳐 소멸 위험 지수는 0.49를 기록했다.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0.329)였고, 이어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경남(0.444), 충남(0.464), 충북(0.487) 순이다. 전국 평균은 0.615이다. 소멸 위험이 가장 낮은 곳은 세종(1.113)이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130곳(57.0%)이다.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은 57곳이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 위험 지역에 진입한 곳은 부산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 등 11곳이다.

부산 영도구는 소멸 위험지 수가 0.256으로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 영도구가 처음으로 소멸 위험 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과 비교해 20~39세 여성인구는 11.4% 감소했고, 65세 이상 인구는 73.5% 늘었다.

부산시 인구 변화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이 연구위원은 “광역시 소멸 위험 지역들은 부산 영도구·동구, 대구 서구, 대전 중구 등 재개발이 지연된 원도심과 부산 사상구·사하구, 대구 서구 등 노후 산업 지역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 빌딩과 벡스코,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다.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어서 거주자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게 이 연구위원 설명이다.

소멸 위험 지역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령 인구와 젊은 인구 간 격차가 심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30년 후 부산 인구는 4분의 1이 감소하고, 20~30대 여성 인구는 절반 이상 감소하지만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쯤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지자체가 어떤 정책을 펼치는 자에 따라 미래는 바뀔 수 있다. 경북 예천군은 지난 20년 동안 전체 인구가 소폭 증가했고, 20~39세 인구 감소율도 다른 소멸 위험 지역의 절반 수준이다. 경북도청 이전과 신규산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지역 발전 정책이 인구감소와 청년 유출을 막는 효과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