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은현

온라인·원스톱 대환 대출(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정부 혁신 세계 최초 사례로 16일 선정됐다. 시민들은 은행에 가지 않아도 모바일 앱으로 금리가 낮은 대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최근 1년간 20만명이 총 10조원 규모의 대출을 갈아타며 1인당 이자 162만원을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한국행정연구원과 제3회 정부 혁신 최초·최고 사례를 발표했다. 금융위원회는 작년 5월 31일 ‘온라인·원스톱 대환 대출’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온라인으로 대출을 비교하는 서비스는 해외에도 있었지만 금융회사 간 대출을 비교하고 갈아타기까지 한꺼번에 할 수 있는 시스템은 한국이 처음이다.

국내 최초 사례로는 제주도 서귀포시 공공산후조리원, 창원특례시 공공 자전거, 경남도 조상 땅 찾기 서비스, 청주시 어린이 보호 구역 내 교통 안전 시설물 노란색 표시 등 4건이 선정됐다. 서귀포시는 지난 2013년 3월 전국 최초로 공공 산후조리원을 개원했다. 창원시는 지난 2008년 10월 친환경 교통 수단인 공공 자전거를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경남도는 지난 1993년 4월 불의의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여중생의 부탁을 받고 땅을 찾아준 것을 계기로 ‘조상 땅 찾기’를 시작했다. 이는 숨어 있는 조상이나 본인 명의 땅을 찾아주는 서비스로, 전국으로 확대돼 국민 재산권 보호에 기여했다. 청주시는 지난 2013년 5월 어린이 보호 구역에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노란색 표시를 적용했다. 행안부는 선정 기관에 인증서를 부여하고 우수 사례에 대해 정부기관의 벤치마킹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