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금강 세종보 주변에 많은 물이 흐르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의 내년도 예산안이 올해(13조4735억원)보다 6.5% 증가한 14조3493억원으로 확정됐다. 국가 하천과 하수관로 정비 등 치수(治水) 사업과 온실가스 감축 관련 예산이 대폭 늘었다.

21일 환경부는 국회 본회의에서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이 이같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보다는 1074억원 감액됐다. 내년 국가 하천 정비 사업 예산은 6627억원으로 올해(4510억원)보다 46.9% 늘었다. 도시 침수 대응 하수관로 정비 사업 예산은 3275억원으로 올해(1541억원)보다 112.5%, 인공지능 홍수 예보 체계 구축 예산은 818억원으로 올해(169억원)보다 3845 늘었다.

신규 댐 건설에는 63억원이 배정됐다. 정부가 요청한 예산(93억원)보다 다소 줄었다. 환경부는 댐 10곳을 새로 짓거나 리모델링할 계획으로 내년 기본 구상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섬 지역 가뭄에 대응하는 지하수저류댐 건설 예산은 108억원, 충남 대산-임해 산업단지 용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수담수화 시설 구축 예산은 420억원이 편성됐다. 홍수 대응 예산과 마찬가지로 올해(각각 3억원, 229억원)보다 많이 늘었다.

4대강 보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예산은 20억원 반영됐다. 온실가스 국제 감축 사업 관련 예산은 236억원으로 올해(104억원)보다 126.9% 늘었다. 현 정부는 올해 4월 수립한 ‘제1차 국가 탄소 중립 녹색 성장 기본 계획’을 통해 산업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몫을 줄이는 대신 국제 감축과 탄소 포집·저장·이용(CCUS) 기술을 통한 감축량을 늘렸다.

무공해차 보급 예산은 내년 2조3193억원으로 올해(2조5652억원)보다 9.6% 줄었다. 내년 전기차 1대당 보조금이 줄고 국회 심의 과정에서 소형 전기 화물차 보급 물량이 축소되면서다. 내년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차 보급 목표는 30만2000대로 올해(28만5000대)보다 많이 설정됐다. 무공해차 충전 인프라 구축 예산은 내년 7344억원으로 올해(5189억원)보다 41.5% 증가했다.